학술논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이용수 181
- 영문명
- Effects of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s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Officers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윤애신(Yoon Ae-shin) 이윤정(Lee Yun-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227~2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개인별 특성에 따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정도와 다문화 인식을 살펴보고,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78부 설문지를 대상으로 SPSS 22.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들의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여행과 미디어 경험이 많았다. 개인별 특성에 따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연령별, 근무경력별, 다문화교육 경험유무, 다문화관련 업무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적을수록,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다문화교육 경험과 다문화관련 업무 경험이 있을수록 비형식적인 다문화 경험이 많았다.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여행, 학창시절, 외국어, 직장, 미디어, 지역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은 낮았으며, 특히 수용성에 관한 인식이 낮았다. 개인별 특성에 따른 다문화 인식의 차이는 근무경력에 따라서만 차이가 있었다.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다문화 인식이 높았는데, 이는 근무경력은 다문화 인식이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국립도서관 공무원의 다문화 인식은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의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친구, 미디어, 여행 순이었다. 친구 경험을 통한 수평적 관계 형성은 다문화에 대한 거부감과 편견을 감소시키고, 미디어 경험은 접근이 용이하여 영향력이 있으며, 여행은 다른 문화에 대한 선입견과 낯설음을 없애고 다름을 이해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다문화 관련 정책을 관할하고 있는 타 부처와의 비교 연구와 공무원들의 심리적 측면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였으면 한다. 둘째, 형식적 다문화교육 경험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공무원의 다문화 인식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aper discusses how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affects cross-cultural awareness of government officers serving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t aims to examine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awareness levels and see how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s affect cross-cultur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officers showed lower levels of cross-cultural awareness than other groups of people. Secondly, they had experienced informal multiculture mostly from travel and media. Third,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informal cross-culture. Fourth,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cross-cultural awaren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riend, media, travel, and community in a decreasing order.
Sin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ly to officer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results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to other contexts. Furthermore,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method, focusing only on physiological aspects of the officers. Individual interviews might have allowed for mor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ir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cross-cultural awareness. Given the finding that media experience is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on cross-cultural awareness in the modern society, the officers need to enrich media experience and improve their cross-cultural awar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