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79
- 영문명
- Influences of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sing 3D Printers on Improvements of Inventive Capacity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기흥(Kim Ki-heung) 이철현(Lee Chul-Hyu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89~1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3D 프린팅기반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을 위하여 다음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3D 프린팅 기반 발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5학년 실과 발명단원 14차시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발명설계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1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둘째, 3D 프린팅 기반 발명교육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10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CVR값이 기준값인 .62보다 높은 결과가 나와 타당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발명능력 평가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총 54개의 표본에서 랜덤으로 40개의 표본을 추출하여 전체문항과 하위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넷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전발명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전 능력 검사결과 동일한 집단임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발명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검사를 통해 실험반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3D-printing-bas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iscover its effects on the students’ invention abiliti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First, a 3D-printing-bas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14th lesson of the invention unit for 5th graders, was prepared for the invention education based on the verified invention design process.
Second, a 3D-printing-bas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validated. A validation test with 10 experts showed that the CVR value wa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62, showing no problems with validity.
Thir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of the invention ability was verified. A random sampling of 40 samples were extracted from a total of 54 samples to measured the reliability of the whole question and its substeps.
Fourt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 pretest of the invention ability. The results found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Fif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 posttest of the invent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levels of inventive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목차
Ⅰ. 서론
Ⅱ. 발명능력의 이론적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