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이용수 509
- 영문명
- Analysis of English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재희(Lee Jai-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9권 제1호, 185~2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7년 초등학교 3~4학년에 영어교육을 시작한 후 5개 정부에 걸쳐 20년이 지났다. 본 논문은 그 동안 초등영어에 관하여 실시된 17개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6차례 개정된 교육과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육정책 분석 결과를 보면, 정책의 대상별로는 교사 대상 정책이 9개, 학생 대상은 8개였고, 정책의 주요 내용별로는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정책이 11개로 가장 많았고, 교육 내용에 관한 정책은 하나도 없었는데 교육 내용은 교육과정에 제시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보면, 1997년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명시하였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해지면서 2007개정 교육과정의 영어과 성격에 ‘문화간 화자’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주당 영어수업 시수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감소되었다가 2008개정 교육과정에서 증가하였다.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등영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wenty years pass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for the 3rd and 4th graders in 1997.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nglish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1997 in Korea. We analysed 17 policies and 6 curricula during the last 20 year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9 policies were for teachers, and 8 policies were for students. Second, 11 policies were relat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rd, the no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introduced into the 7th curriculum in 1997, and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speaker was introduced in 2007 curriculum. Lastly, class hours per week had decreased in the 7th curriculum, and increased in 2008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conclusions were drawn about the direc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addition, some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rther study.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의 내용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에 따른 메타인지 비교
-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문화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Who are Xunzi’s Gentleman and Petty Man? 순자의 군자 소인론
-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 예비초등교사들과 교사교육자의 수영수업 이야기
-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 초등과학 수업에서 일반교사와 STEAM 교육 연구회 교사간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공무원들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립중앙도서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 <애국가> 작사가에 관한 담론 연구
- 뇌 활용 선호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정서·행동장애위험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과 중심의 실생활 연계 로봇 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