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mily and Peer Attachment Affects Cyberbullying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승현(Seunghyun Lee) 황성현(Sunghyun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3호, 155~1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삶의 만족도, 폭력 허용도, 뉴미디어 사용 시간, 친구애착 및 가족애착 요인을 중심으로 청소년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21년 실시한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 대응 방안 연구Ⅱ: 10대 청소년의 데이터를 2차 자료로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가 높은 청소년은 가족과 친구와의 애착 관계가 높게 나타남과 동시에 사이버폭력의 가해 및 피해에 덜 노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폭력 사용에 대해 관대한 청소년은 가족과 친구와의 관계가 돈독하지 못했으며 그 결과 사이버폭력의 가해 및 피해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 하지만 평소 유튜브, SNS, 온라인 게임 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청소년은 가족과 친구에 대한 애착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그 결과 사이버폭력의 가해 및 피해를 당할 가능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몇 가지 개인 환경적 요인이 가족과 친구애착 요인을 경유하여 청소년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문제가 되는 청소년 사이버폭력에 대한 예방 및 교육에 대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violence tolerance, new media usage time, friend attachment, and family attachment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among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Korean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s 2021 Youth Media Usage and Targeted Policy Response Study II: Teenagers were used as secondary data.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howed that adolescents with high life satisfaction had higher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and were less likely to be victimized by cyberbullying. In addition, adolescents who were tolerant of violence in their daily lives were less likely to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and as a result, were more exposed to cyberbullying. However, adolescents who spend a lot of time on YouTube, social media, and online gaming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ir attachment to family and friends, which was not associated with their likelihood of perpetrating or being victimized by cyberbullying. This study validates that several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adolescent cyberbullying via family and friend attachment factors, which may better explain adolescent cyberbullying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education of youth cyberbullying, which has become a growing problem.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 노인의 디지털역량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 퍼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경찰 징계 적정화에 관한 논의 : 소청심사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고립에 미치는 요인탐색: 집단괴롭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피의사실공표죄 사문화 현상의 범죄심리학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심리지원의 현황과 개선 전략 - 딥페이크 사례를 중심으로
- 지방의원의 행동강령 현황과 개선 방안 : 합리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 가족과 친구애착이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성비행 의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오픈채팅 분석을 중심으로
- 범죄 전력과 범죄율이 관찰자의 양형 판단에 미치는 영향: Kelly의 공변 모형을 적용한 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