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Crime Victimization among Older Adult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박시영(Si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3호, 61~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와 디지털화를 동시에 겪고 있는 사회다. 이 두 흐름이 만나는 지점에서 노인의 안전은 새로운 위협에 직면한다. 디지털 환경의 급격한 확산은 노인에게 새로운 기회와 동시에 취약성을 제공한다. 기존 연구는 디지털 역량이 낮은 집단을 잠재적 범죄피해 위험군으로 보아 취약성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디지털 활용이 오히려 범죄예방적 효과를 지닐 수 있다는 보호 요인 관점의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두 관점은 상충되며, 실증적 검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역량이 범죄피해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연령집단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전국 노인 조사자료 3,039명을 활용하여 퍼스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모형은 취약성 이론, 보호 요인 이론, 연령집단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세 가지 가설을 토대로 설계되었다. 분석 결과, 취약성 이론은 기각되었으며 디지털 역량이 범죄피해를 줄이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디지털 역량이 높은 집단은 낮거나 중간 집단에 비해 범죄피해 경험 가능성이 낮았으나, 그 효과는 부분적으로만 유의하였다. 상관분석에서도 디지털 역량은 연령과 음(-)의 상관, 경제수준과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범죄피해 경험과는 약하나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연령집단의 조절효과는 일부(80세 이상)에서만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디지털 역량을 단순히 취약성 지표로 간주하는 기존 접근의 한계를 보여주며, 일정 수준 이상의 역량은 범죄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노인 범죄예방 정책은 디지털 활용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으며, 연령집단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crime victimization among older adults. Drawing on both the vulnerability theory and the protective factor perspective, the research tested three hypotheses: (1) digital literacy increases the likelihood of victimization, (2) digital literacy reduces the likelihood of victimization, and (3)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varies across age groups. Using survey data from 3,039 older adults, logistic regression with penaliz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as conducted, along with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vulnerability hypothesis. Instea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higher digital literacy functions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crime victimization. In particular, older adults with high levels of digital literacy showed a lower likelihood of experiencing crime compared to those with low or mid-level literacy, although this effect reached only marginal significance. Correlation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digital literac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conomic status, while its relationship with crime victimization was modest but negative. The hypothesized moderating effect of age groups was partially observed in the oldest group (80+), but the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robu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gital literacy does not linearly increase vulnerability but rather operates as a threshold factor that can enhance protection once a certain level of proficiency is reached.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strengthen digital capabilities among older adults as a preventive strategy against crime. Policy efforts should move beyond viewing digital use solely as a risk factor and instead focus on developing programs that foster practical and protective digital skills, tailored to different age cohort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 노인의 디지털역량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 퍼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경찰 징계 적정화에 관한 논의 : 소청심사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고립에 미치는 요인탐색: 집단괴롭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피의사실공표죄 사문화 현상의 범죄심리학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심리지원의 현황과 개선 전략 - 딥페이크 사례를 중심으로
- 지방의원의 행동강령 현황과 개선 방안 : 합리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 가족과 친구애착이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성비행 의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오픈채팅 분석을 중심으로
- 범죄 전력과 범죄율이 관찰자의 양형 판단에 미치는 영향: Kelly의 공변 모형을 적용한 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