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Isol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Bullying,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성경주(Gyeong-Joo Seong) 김석범(Suk-Bum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3호,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부모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2기 2021년도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다문화청소년 1,84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은 사회적 고립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부모의 교육적 지지 및 기대는 사회적 고립을 완화하는 보호요인인 반면,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사회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 중에서는 친구지지가 사회적 고립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교사의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집단괴롭힘 예방,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강화, 또래 지지망 확충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effects of bullying victimization,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on social isol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Utilizing data from the 5th wave of the 2nd phas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1,842 multicultural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ullying victim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ocial isolation, while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and expectations acted as protective factors that reduced social isolation. Conversely, parental neglectful attitudes exacerbated social isolation. Among social support variables, peer support significantly decreased social isolation, whereas teacher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ults may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aimed at preventing peer bullying, strengthening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expanding peer support networks to alleviate social isol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 노인의 디지털역량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 퍼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경찰 징계 적정화에 관한 논의 : 소청심사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고립에 미치는 요인탐색: 집단괴롭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피의사실공표죄 사문화 현상의 범죄심리학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심리지원의 현황과 개선 전략 - 딥페이크 사례를 중심으로
- 지방의원의 행동강령 현황과 개선 방안 : 합리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 가족과 친구애착이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성비행 의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오픈채팅 분석을 중심으로
- 범죄 전력과 범죄율이 관찰자의 양형 판단에 미치는 영향: Kelly의 공변 모형을 적용한 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