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wareness of Crimes Against Women and Stereotypes About Intimate Partner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홍승표(Seung Pyo Hong) 박종승(Jong Se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3號, 445~46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성폭력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친밀한 파트너 폭력 고정관념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일반 시민 30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내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분석 기법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폭력범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친밀한 파트너 폭력 고정관념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성폭력범죄의 정의와 특성, 피해의 실태를 사회구조적 문제로 바라보고 이를 인식하는 것이 친밀한 파트너 폭력에 내재된 고정관념(피해자 책임론, 사적 영역 축소 등)을 해소하고 예방 역량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신고율이 저조하고 2차 피해 위험이 상존하는 현실, 그리고 사회 전반에 만연한 폭력의 정당화ㆍ사소화 고정관념의 문제를 함께 지적하며 인식 개선 교육, 피해자 중심의 통합 지원체계 확립 및 관계 폭력에 특화된 정책ㆍ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여성폭력범죄와 친밀한 파트너 폭력을 다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wareness of crimes against women and stereotypes about intimate partner violence.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4 general citizen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secure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analysis found that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crimes against wome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tereotypes regard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This suggests that recognizing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reality of victimization in crimes against women as a social and structural issue can help dismantle entrenched stereotypes about intimate partner violence (such as blaming the victim and minimizing violence as a private matter) and strengthen prevention capabilities. This study also points out the persistently low reporting rates, ongoing risks of secondary victimization, and the widespread normalization and trivialization of violence in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it proposes urgent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he need for awareness-raising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victim-centered integrated support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argeting relationship viol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focus on the serious social problems of gender-based violence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의 인신매매 방지 정책과 형사사법 대응체계 연구
- 한국형 민간조사 제도 도입을 위한 학술적 고찰
- 뉴스 데이터 기반 교제폭력 담론의 약신호 탐지와 정책 대응 방향
-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경찰공무원 인식 구조와 유형 분석: 정책 수용성 강화를 위한 실증적 접근
- 범죄 분야 지역안전지수의 구조적 한계와 개선 방향
- 독도경비대의 창립과 활동 연구
- 특수경비 교육을 위한 VR 훈련 콘텐츠 설계 원리 연구: 실감형 교육 환경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 증거기반 경찰활동의 현황과 향후 과제: 경찰관의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
- 국회 개인정보 제공 과정에서의 보호 및 통제 방안 연구:출입기록 및 개인영상정보를 중심으로
- 조직몰입에 대한 상사적합성의 영향과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효과적인 요인경호에 관한 연구: 해외 요인 경호사례를 중심으로
- 경비활동 개념과 구성요소 연구
- 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선택 및 직업 인식에 관한탐색적 연구
- 제주자치경찰단 특별사법경찰제의 실태분석과 미래지향적 제언
- 청소년 불법도박 문제 및 대응 방안: 스포츠도박 유무에 따른 취약성 인식 차이 연구
- 건설재해사고 수사체계 개선 연구: 수사경찰과 현장관리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치안 및 안전관련 공약 분석
- 여성폭력범죄에 대한 인식과 친밀한 파트너 폭력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행사장에서의 혼잡ㆍ교통유도경비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