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선택 및 직업 인식에 관한탐색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Choice and Job Perceptions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Profession
발행기관
한국민간경비학회
저자명
신소영(So-Young Shin)
간행물 정보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3號, 183~20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태도와 직업 인식 수준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인식 개선 및 진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탐정업은 2020년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일부 민간조사 활동이 가능해졌으나, 여전히 법적ㆍ제도적 기반이 미비하고 사회적 신뢰 또한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권 소재 대학의 경찰행정학 전공 학부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탐정업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어떠한 사회ㆍ제도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진로 태도는 사회적 인식, 제도적ㆍ교육적ㆍ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탐정업을 진로로 고려하는 과정에서는 사회적 편견, 제도적 불확실성, 직업 안정성 부족이 주요 제약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제도 정비, 교육적 기반 구축, 사회적 이미지 개선, 학계ㆍ산업계ㆍ정부 간 협력적 지원이 병행될 경우 대학생들의 진로 수용성이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탐정업이 현실적인 진로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법ㆍ제도적 기반 강화, 교육ㆍ양성 체계의 마련, 사회적 인식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university students’ career attitudes and occupational perceptions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profession, with a focus on identifying conditions for enhancing awareness and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in this emerging field. Although the 2020 amendment to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formally permitted limited private investigative activities, the profession in Korea continues to lack a robust legal-institutional framework and remains constrained by insufficient societal trust. To examine how students construct meanings around this profess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olice Administration at universities in the Chungcheong region.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students’ career orientations are shaped through the interplay of social recognition, institutional stability,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ersonal value orientations. Social prejudice, regulatory uncertainty, and concerns over employment security were identified as critical barriers, whereas institutional reform,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educational and training infrastructures, improvements in public image, and collaborative support across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were regarded as prerequisites for increasing career accept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fessionaliza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in Korea requires not only legal and institutional consolidation but also educational development and the cultivation of positive societal recognition in order to position it as a legitimate and sustainable career pathway for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분석 및 문제점 도출
Ⅳ. 대응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소영(So-Young Shin). (2025).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선택 및 직업 인식에 관한탐색적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4 (3), 183-206

MLA

신소영(So-Young Shin). "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선택 및 직업 인식에 관한탐색적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4.3(2025): 183-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