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도경비대의 창립과 활동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Dokdo security police
발행기관
한국민간경비학회
저자명
김경호(Kyoung Ho Kim)
간행물 정보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3號, 27~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세로부터 영토를 지키는 특수한 경찰인 독도경비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 착안하여, 독도경비대의 창립시기를 밝히고 활동상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했다. 아울러 독도경비대의 활동과 그 의의를 새롭게 부각시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내무부와 경상북도경찰청에서 발간한 경찰사 사료, 독도경비대 관련 한국과 일본의 신문자료, 독도의용수비대원이 쓴 수기 등의 자료를 참고 및 교차검증 하는 연구방법을 취했다. 1953년 이후 일본인이 독도를 계속 침범해오자, 울릉도에서는 6ㆍ25전쟁 상이군인을 중심으로 독도의용수비대가 조직되어 독도 주둔 경비를 시작했다. 곧이어 독도에는 경찰들로 구성된 독도경비대도 상주하기 시작하여 독도경비 활동이 보다 체계화되었다. 독도의용수비대원 9명은 민간경비대원으로서 독도를 지킨 공로를 인정받아 경찰로 특별채용 된 후 독도경비대 활동을 했다. 1954년 11월 21일에는 동도 정상에서 독도의용수비대가 총ㆍ포격으로 일본순시선을 격퇴한 바 있는데, 여기에는 당시 동도에서 주둔하던 독도경비대가 협력했을 것이다. 독도경비대는 독도의용수비대가 철수한 이후에도 계속 독도를 지켰다.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가 이루어진 뒤에도 일본은 독도에 대한 야욕을 버리지 않았고, 독도경비대 역시 독도를 지켜내기 위해 독도경비에 만전을 기했다. 한국의 경제발전에 따라 독도경비대의 여건도 점차 개선되었다. 90년대 말까지 독도에는 레이더기지, 500톤급 선박 접안시설, 경비대원 신형 숙소, 대용량 정수처리 시설 등이 설치되는 등 독도경비대의 임무수행을 원활하게 해줄 제반여건이 갖추어졌다. 독도경비대 창립에 관해 연구한 결과 독도경비대가 초기 활동 당시 이미 존재했던 독도의용수비대와의 긴밀하게 협력했다는 정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두 조직이 함께 독도를 지킨 것은 지역민과 경찰 간 상호협력의 모범사례라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독도경비대는 경찰조직이지만 민간경비대의 영향을 받아 외세로부터 국토를 지키고 있다는 특수성을 지닌다. 그들은 1954년 7월부터 현재까지 역사상 최장기간 독도를 지켜왔기에 독도영유권 확립에 있어 가장 실천적인 역할을 한 조직이다.

영문 초록

After 1953, Japanese continued to invade Dokdo, so a Dokdo volunteer forces was organized on Ulleungdo, mainly consisting of soldiers wounded in the Korean War, and they began to guard Dokdo. Shortly, Dokdo security police was also stationed on Dokdo, and the guarding of Dokdo became more systematic. Nine members of the Dokdo volunteer forces were specially recruited as police officers to serve in the Dokdo security police. On November 21, 1954, the Dokdo volunteer forces repelled a Japanese patrol boat with gunfire and from the summit of Dongdo, and it is presumed that the Dokdo security police collaborated in this operation. Therefore, the Dokdo volunteer forces is considered the predecessor of the Dokdo security police, and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in defending Dokdo is regarded as a model case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he police. The Dokdo security police has defended Dokdo from the front lines for the longest period in history, from July 1954 to the present, and has played the most substantial role in establishing Republic of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목차

Ⅰ. 서 론
Ⅱ. 1950년대 초 동아시아 정세와 독도
Ⅲ. 독도에서의 한일 마찰과 독도경비대 창립
Ⅳ. 독도경비대의 임무수행과 생활상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호(Kyoung Ho Kim). (2025).독도경비대의 창립과 활동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4 (3), 27-54

MLA

김경호(Kyoung Ho Kim). "독도경비대의 창립과 활동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4.3(2025): 2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