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ement for Construction Accidents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Investigation Police and Field Manager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최영하(Young Ha Choi) 박상진(Sang Jin Park) 류용현(Yong Hyun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3號, 391~41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 제정과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재해 사고 건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건설현장 사고 수사는 경영책임자의 관리의무 위반과 사고 고의성 입증의 어려움으로 장기화되며, 경찰과 현장관리자가 각각 수사 권한을 행사하는 이원적 구조와 인식 차이도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수사경찰과 현장관리자 간 인식 차이가 건설재해 사고 원인의 직접ㆍ간접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건설현장의 제도적 관행과 수사 과정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재해 사고 원인을 8개 영역 30개 세부 항목으로 분류하고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경찰과 현장관리자 간 인식 격차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해소해 건설재해사고 수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건설재해 안전대책 수립과 경찰 수사 및 안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Since the enactment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1981 and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2022, the number of construction accidents has decreased, but it is still difficult to say that the problem has been completely resolved.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site accidents is prolonged due to violations of management obligations of management managers and difficulties in proving accident intentionality, and differences in dual structures and perceptions in which police and field managers exercise their investigation authority, respectively, also act as obstacles. However, domestic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investigative police and the field manager on the direct and indirect judgment of the cause of the construction accident.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institutional practices and investigation process of construction sites. Through this, the causes of construction accidents were classified into 30 sub-items in 8 areas and AHP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the police and the field manager was confirmed, and a plan to increase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accidents was suggested by solving th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afety measures for construction accidents in the future and police investigation and safety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의 인신매매 방지 정책과 형사사법 대응체계 연구
- 한국형 민간조사 제도 도입을 위한 학술적 고찰
- 뉴스 데이터 기반 교제폭력 담론의 약신호 탐지와 정책 대응 방향
-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경찰공무원 인식 구조와 유형 분석: 정책 수용성 강화를 위한 실증적 접근
- 범죄 분야 지역안전지수의 구조적 한계와 개선 방향
- 독도경비대의 창립과 활동 연구
- 특수경비 교육을 위한 VR 훈련 콘텐츠 설계 원리 연구: 실감형 교육 환경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 증거기반 경찰활동의 현황과 향후 과제: 경찰관의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
- 국회 개인정보 제공 과정에서의 보호 및 통제 방안 연구:출입기록 및 개인영상정보를 중심으로
- 조직몰입에 대한 상사적합성의 영향과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효과적인 요인경호에 관한 연구: 해외 요인 경호사례를 중심으로
- 경비활동 개념과 구성요소 연구
- 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선택 및 직업 인식에 관한탐색적 연구
- 제주자치경찰단 특별사법경찰제의 실태분석과 미래지향적 제언
- 청소년 불법도박 문제 및 대응 방안: 스포츠도박 유무에 따른 취약성 인식 차이 연구
- 건설재해사고 수사체계 개선 연구: 수사경찰과 현장관리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치안 및 안전관련 공약 분석
- 여성폭력범죄에 대한 인식과 친밀한 파트너 폭력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행사장에서의 혼잡ㆍ교통유도경비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