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An Empirical Approach to Enhancing Policy Acceptance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이주호(Ju Ho Lee) 정병수(Byung Soo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3號, 341~36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도 하에서 수행되는 생활안전 및 교통안전 사무에 대해 경찰공무원이 인식하는 중요도 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식 유형을 분류한 뒤, 각 유형 간의 서비스 만족도 차이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중요도 문항을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치경찰사무는 ‘방범 및 안전관리’와 ‘교통 통제’의 두 개 요인으로 구조화되었다. 요인 점수를 이용한 군집분석에서는 경찰공무원이 두 개의 인식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군집은 중요하게 인식하는 사무 유형이 상이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 결과에서는 ‘방범 및 안전관리 중심’ 군집이 ‘교통 통제 중심’ 군집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은 서비스 만족도를 보였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입직경로, 자치경찰 업무경험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이 군집 소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치경찰 사무의 인식 유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정책 수요자에 기반한 맞춤형 정책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ㆍ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local police affairs under Korea’s autonomous police system, with a focus on enhancing policy acceptance. Using survey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wo functional dimensions: Crime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and Traffic Control. Cluster analysis based on factor scores identified two distinct perception types that emphasized different aspects of police affairs. Independent-sample t-tests showed that officers in the Crime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oriented cluster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rvice satisfaction than those in the Traffic Control-oriented cluster. However,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demographic variables—such as gender, age, entry route, tenure, and prior experience in autonomous police work—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cluster membership.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differentiated policy strategies tailored to perception type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mand-oriented approaches for strengthening policy acceptance withi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의 인신매매 방지 정책과 형사사법 대응체계 연구
- 한국형 민간조사 제도 도입을 위한 학술적 고찰
- 뉴스 데이터 기반 교제폭력 담론의 약신호 탐지와 정책 대응 방향
-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경찰공무원 인식 구조와 유형 분석: 정책 수용성 강화를 위한 실증적 접근
- 범죄 분야 지역안전지수의 구조적 한계와 개선 방향
- 독도경비대의 창립과 활동 연구
- 특수경비 교육을 위한 VR 훈련 콘텐츠 설계 원리 연구: 실감형 교육 환경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 증거기반 경찰활동의 현황과 향후 과제: 경찰관의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
- 국회 개인정보 제공 과정에서의 보호 및 통제 방안 연구:출입기록 및 개인영상정보를 중심으로
- 조직몰입에 대한 상사적합성의 영향과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효과적인 요인경호에 관한 연구: 해외 요인 경호사례를 중심으로
- 경비활동 개념과 구성요소 연구
- 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선택 및 직업 인식에 관한탐색적 연구
- 제주자치경찰단 특별사법경찰제의 실태분석과 미래지향적 제언
- 청소년 불법도박 문제 및 대응 방안: 스포츠도박 유무에 따른 취약성 인식 차이 연구
- 건설재해사고 수사체계 개선 연구: 수사경찰과 현장관리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치안 및 안전관련 공약 분석
- 여성폭력범죄에 대한 인식과 친밀한 파트너 폭력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행사장에서의 혼잡ㆍ교통유도경비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