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스 데이터 기반 교제폭력 담론의 약신호 탐지와 정책 대응 방향

이용수  0

영문명
Detecting Weak Signals in News-Based Discourses on Dating Violence and Policy Implications
발행기관
한국민간경비학회
저자명
이정우(Jeong Woo Lee) 노승국(Seung Kook Roh)
간행물 정보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3號, 313~3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토킹처벌법 제ㆍ개정 등 일부 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교제폭력은 여전히 관계 특수성이 제도에 반영되지 못해 조기 개입과 예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제폭력에 관한 사회적 담론에서 미래 위험의 초기 징후를 조기에 포착하기 위해 뉴스 데이터 기반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약신호(Weak Signal)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4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게시된 ‘교제폭력’ 또는 ‘데이트폭력’ 관련 국내 기사이다. 분석 결과, 빈도는 낮지만 최근 증가세가 두드러진 키워드들이 약신호로 식별되었으며, 이를 피해자 경험(고통, 회복), 가해자 행위와 동기(배우자, 보복, 우발, 사랑, 성범죄, 촬영), 제도적 대응(명령, 양형), 젠더 인식(차별)의 네 범주로 분류하였다. 피해자 경험은 폭력으로 인한 지속적인 고통과 회복의 어려움을, 가해자 행위와 동기는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의 특수성과 범죄화 필요성을, 제도적 대응은 예방 중심의 법체계와 집행력 강화 필요성을, 젠더 인식은 구조적 맥락 반영과 문화 개선의 중요성을 각각 부각하였다. 본 연구는 교제폭력을 사회구조, 제도, 문화가 결합한 복합 범죄로 조망하고, 이를 토대로 조기 개입과 선제 대응을 위한 정책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Despite partial legislative improvements such as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Anti-Stalking Act,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hereafter “dating violence”) still tends to be handled as a subcategory of domestic violence or general violent crime, making it difficult to incorporate its relational particularities into the legal framework and to enable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This study conducted a weak signal analysis using news data-based text mining to detect early signs of future risks in the social discourse surrounding dating violence. The dataset consisted of domestic news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s “intimate partner violence” or “dating violence” published between June 2024 and May 2025. The analysis identified keywords with low frequency but a notable recent upward trend as weak signals, which were classified into four thematic categories: victim experience (“suffering,” “recovery”), offender behavior and motives (“spouse,” “retaliation,” “impulsive,” “love,” “sex crime,” “filming”), institutional response (“order,” “sentencing”), and gender perception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 highlighted the persistence of suffering and challenges of recovery; offender behavior and motives emphasized the specificity of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s and the need for criminalization; institutional response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a prevention-oriented legal framework and enforcement capacity; and gender perception pointed to the necessity of reflecting structural contexts and improving cultural attitudes. By framing dating violence as a complex crime shaped by social structures, institutions, and cultural dynamics, this study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policy design aimed at early intervention and proactive respon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및 개념적 분석틀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논 의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우(Jeong Woo Lee),노승국(Seung Kook Roh). (2025).뉴스 데이터 기반 교제폭력 담론의 약신호 탐지와 정책 대응 방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4 (3), 313-340

MLA

이정우(Jeong Woo Lee),노승국(Seung Kook Roh). "뉴스 데이터 기반 교제폭력 담론의 약신호 탐지와 정책 대응 방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4.3(2025): 313-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