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Limit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Crime-Related Regional Safety Index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권혜림(Hye-Rim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3號,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사회에서 안전은 시민 삶의 질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국가와 지방정부는 이를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고 있다. 이 중 지역안전지수는 대표적 비교 평가 도구지만, 상대평가 방식으로 인해 개선노력에도 불구하고 하위 등급 지역에 낙인 효과와 정책 불신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범죄 분야 지역안전지수를 중심으로 측정 지표의 구성과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평가 방식의 정책적 함의와 구조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위해ㆍ취약ㆍ경감ㆍ의식 지표의 내용, 가중치 변화, 정책 연계성을 종합적으로 살핀 결과, 현재의 지표 체계가 범죄안전도를 총체적으로 진단하기보다는 일부 수치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표 조정의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 여전히 지자체의 실제 치안 역량과 주민의 체감 안전이 평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역안전지수를 단순 비교지표가 아닌, 지역의 치안 실태와 노력, 특수성을 보다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재설계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절대평가 방식으로의 전환과 지자체의 자율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유연한 평가 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는 지역안전지수가 명실상부한 정책 설계 도구로 기능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safety is recognized as a key fact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leading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use various indicators to assess it. Among these, the Regional Safety Index(RSI) functions as a representative comparative evaluation tool, but its relative evaluation system has raised concerns, as it can stigmatize lower-rated regions and foster policy distrust—even in cases where actual improvements have been made.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structure and limitations of the RSI in the crime domain by analyzing changes in its measurement indicators and assessment methods. Focusing on the four sub-indices—risk, vulnerability, mitigation, and awareness—it investigates how the content, weightings, and policy linkages of these indicators have evolve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current index structure remains heavily reliant on a limited set of quantitative metrics, often failing to reflect the actual crime prevention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or the public's perceived safe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s for a redesign of the RSI to more accurately capture local crime realities and effort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need for transitioning to an absolute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ing a more flexible, context-sensitive framework that accounts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 shift is essential if the RSI is to serve as a truly effective policy design instrument rather than a mere ranking mechanism.
목차
Ⅰ. 서 론
Ⅱ. 지역안전지수에 대한 이해
Ⅲ. 관련연구의 동향 및 비판적 검토
Ⅳ. 지표 측정방식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의 인신매매 방지 정책과 형사사법 대응체계 연구
- 한국형 민간조사 제도 도입을 위한 학술적 고찰
- 뉴스 데이터 기반 교제폭력 담론의 약신호 탐지와 정책 대응 방향
-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경찰공무원 인식 구조와 유형 분석: 정책 수용성 강화를 위한 실증적 접근
- 범죄 분야 지역안전지수의 구조적 한계와 개선 방향
- 독도경비대의 창립과 활동 연구
- 특수경비 교육을 위한 VR 훈련 콘텐츠 설계 원리 연구: 실감형 교육 환경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 증거기반 경찰활동의 현황과 향후 과제: 경찰관의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
- 국회 개인정보 제공 과정에서의 보호 및 통제 방안 연구:출입기록 및 개인영상정보를 중심으로
- 조직몰입에 대한 상사적합성의 영향과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효과적인 요인경호에 관한 연구: 해외 요인 경호사례를 중심으로
- 경비활동 개념과 구성요소 연구
- 대학생의 탐정업 진로 선택 및 직업 인식에 관한탐색적 연구
- 제주자치경찰단 특별사법경찰제의 실태분석과 미래지향적 제언
- 청소년 불법도박 문제 및 대응 방안: 스포츠도박 유무에 따른 취약성 인식 차이 연구
- 건설재해사고 수사체계 개선 연구: 수사경찰과 현장관리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치안 및 안전관련 공약 분석
- 여성폭력범죄에 대한 인식과 친밀한 파트너 폭력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지역축제 행사장에서의 혼잡ㆍ교통유도경비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