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pects of modern sijo formalism and direction of establishing basic form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조춘희(Chun-Hee Jo)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100집, 235~27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왕에 수행된 시조문학 형식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대시조의 정형시로서의 좌표를 재독하고 그 기본형 정립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알다시피 1920년대 시조부흥운동이 (근대)문학으로서의 시조의 좌표를 구상하는 데 집중했다면, 1950년대를 전후한 시기 시조문학에 대한 논의는 형식론과 함께 그 장르적 유효성에 대한 진단이 주조를 이룬다. 그럼에도 시조 율격에 대한 학계와 문단의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채 각자의 의견을 표출하는 데 그친 탓에, 시조 형식에 대한 이견을 불식하지 못했다. 이는 시조문학의 정체성을 파괴하거나 모호하게 하는 가짜-시조의 출현을 방기했으며, 시조 형식의 미확정성이 야기하는 장르적 혼란을 자초하는 요인이 되었다. 정형시로서의 현대시조의 형식 정체성을 탐사하고 그 기본형을 확립하는 일은 장르의 미래적 전망과 유효성을 구축하는 일과 닿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조 형식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형시로서의 시조문학의 요건을 강화하기 위해 논의해야 할 주요 쟁점들을 궁구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현대시조 형식론의 양상을 분석하고, 3장에서는 시조 기본형을 정립하기 위한 방향 모색과 그 형식적 요건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coordinates of modern sijo as a fixed form through a review of the previously conducted formal criticism of sijo litera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its basic form. As you know, if the sijo revival movement in the 1920s focused on conceptualizing the coordinates of sijo as modern literature, the discussions surrounding sijo literature around the 1950s primarily centered on diagnostic evaluations of its genre along with formalism. Nevertheless, due to the failure to reach a consensus in academia and the literary community regarding the rhythmic structure of sijo, opinions were only expressed individually, preventing the resolution of disagreements about the sijo form.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faux-sijo that undermine or obscure the identity of sijo literature, contributing to the genre's confusion that originates from the indeterminacy of the sijo form. Exploring the formal identity of modern sijo as a fixed form and establishing its basic form is closely related to building the future prospects and validity of the genre.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previous research on the formal theory of sijo and, based on this, seeks to explore key issues that should be discussed to strengthen the requirements of sijo literature as a formal poem. Chapter 2 will analyze the aspects of modern sijo formalism, and Chapter 3 will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the basic form of sijo and its formal requirements.
목차
1. 서론
2. 현대시조 형식론의 양상
3. 시조 기본형 정립을 위한 방향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문학논총 제100집 목차
- 부산미술의 형성과 재편(再編): 1920~1960년대 서양화단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전쟁기 부산 국악사회의 동향과 활동
- 『입심기(入瀋記)』 소재 신시(贐詩) 연구
- 법무부 형정국 발행 월간 『새길』의 매체 전략 연구
- 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과 부산
- 정전협정 이후 부산음악사회의 현실과 지향
- 현대시조 형식론의 양상과기본형 정립의 방향
- 문명적 사유의 임계점 - 김기림 비평의 근대인식과 동양관의 추상성에 관하여
- 박두진 시의 기독교적 유토피아 의식 연구
- 1980년대 문학·문화운동 관련 담론에 나타난 ‘대중’ 인식 - ‘대중’ 개념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 전시체제기(1937-1945) 노래운동과 감정의 문화정치
- 죽음과 애도로 본 본풀이 속 좌정 처(處)의 의미 탐색 - <초공본풀이>와 <이공본풀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