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ritical Threshold of Civilizational Thought - Kim Ki-rim’s Perception of Modernity and the Abstraction of the East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한수영(Soo-Yeong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100집, 277~32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1930-40년대 김기림의 비평과 에세이에 나타난 문명적 사유의 몇 가지 특징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성찰해 보기 위해 쓴다. ‘문명적 사유’란 주로 김기림의 ‘근대’에 관한 그의 논리와 인식의 구조, 체계, 혹은 그 추이를 가리키는 말인데, 그는 모더니즘 시인 및 비평가로서뿐 아니라, 1930-40년대에 누구보다도 누구보다도 치열하게 자기 당대의 문명적 전환의 징후에 예민하게 대응했던 지식인이었다. 중일전쟁이 일어난 후, 일본에서 제기된 동아시아 담론들이 주변국가에 영향을 미치기 훨씬 전부터 김기림은 ‘근대’와 연관된 문명전환적 담론들을 제출하기 시작했다. 서구의 근대가 파국에 이르렀다는 종말론적 징후와 그 종말 이후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유토피아적 구상이, 시론을 포함해 그의 텍스트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제출되었다. 김기림의 문명론적 담론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사적 시각이나 해석적 맥락은, 대체로 그의 문명적 사유와 담론이 일본발 동양담론을 추수(追隨)하는 것인가 그에 저항하는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본고에서는, 김기림의 문명적 담론에 내재한 구조적 특징과 내적 일관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김기림의 문명적 사유에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그의 문명 담론에 동원되는 여러 범주 들이 이항대립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 그리고 그 범주연관들이 상당히 추상적이라는 점이다. 그의 문명적 사유에 빈번히 등장하는 ‘근대’ ‘서구’ ‘동양’ ‘세계’ ‘근대의 파산’ 등은 구체적 함의를 지니기보다는 일종의 표상형식이나 표상의 체계로 작동하고 있었으며, 그 구체적 함의를 확보하기 위한 질문들은 종종 생략되고는 했다. 엄밀하게 말하면, 이런 현상은 김기림에게서 뿐 아니라, 문명적 사유와 담론의 공간에서는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현상이기도 한 것인데, 그것은 일본의 ‘근대의 초극’ 좌담회나 ‘세계사의 방법’ 좌담회 등에서도 확인되는 사실이다. 그의 문명적 사유 혹은 근대 인식에 나타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서구와 동양을 이항대립시킬 때, 서구에 비해 동양에 관해서는 역사적 시간성에 입각하지 않고, 무시간성의 단일한 표상으로 환원해 버린다는 것이다. 그가 그의 사유와 담론에서 ‘동양’을 이렇게 철저히 배제하고 타자화하는 것은 문명전환의 논리로서는 매우 큰 손실이자 결함이라고 할 수 있다. 표상형식에 기댄 추상성, 그리고 이항대립 구도에서의 비대칭성은, 다시 문명전환의 위기와 필요성에 직면해 있는 우리 앞에, 문명적 사유를 개진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들을 고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거울의 역할을 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김기림의 문명사적 사유의 특징과 그 가능성, 그리고 한계를 들여다보는 일은, 그가 일제말에 그토록 단호하게 ‘종언’과 ‘파산’, 혹은 ‘결산’과 ‘청산’을 선언했던 ‘근대’는 과연 ‘지금/여기’의 우리와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되묻는 일인 동시에, 그의 사유가 지닌 시효(時效)의 가치를 한 번쯤 다시 성찰해 보는 일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from a new perspective,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civilizational thought” found in Kim Ki-rim’s critical writings and essays of the 1930s and 1940s. By “civilizational thought,” I refers mainly to Kim’s logic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modernity,” as well as the trajectory of his thinking on this topic. Kim Ki-rim was not only a modernist poet and critic, but also an intellectual who responded with exceptional sensitivity and intensity to the signs of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in his time. Even before discourses on East Asia emerged in Japan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nd began influencing neighboring countries, Kim was already proposing discourses of civilizational transition in relation to modernity. The apocalyptic symptoms of Western modernity’s collapse and the utopian imperative to envision what might follow were expressed in diverse ways across his critical and poetic texts.
Previous scholarship has generally focused on whether Kim’s civilizational discourse was aligned with or resistant to Japanese imperial narratives of the East. This study, however, seek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coherence of his discourse.
One of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Kim Ki-rim’s civilizational thought is the way it relies heavily on binary oppositions and abstract categories. Frequently used terms such as “modernity,” “the West,” “the East,” “the world,” and “the collapse of modernity” often functioned more as representational forms or symbolic frameworks rather than being grounded in specific, concrete meanings. The critical questions necessary to clarify these concepts were often left unasked. Strictly speaking, this phenomenon is not unique to Kim; it is a common trait in many forms of civilizational discourse, as also seen in Japanese roundtable discussions on “Overcoming Modernity” or “The Method of World History.”
Another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Kim’s civilizational thought is its asymmetry: when constructing opposition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he tends to reduce the East to a timeless, monolithic representation, lacking historical specificity, in contrast to the historically nuanced portrayal of the West. This act of exclusion and objectification of the East within his own discourse constitutes a major flaw and loss in the logic of civilizational transition.
The abstraction based on symbolic forms and the asymmetry in binary oppositions serve as a mirror reflecting the challenges we must grapple with when attempting to formulate civilizational thought in response to our own crises and transformations. Reflecting on the feature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Kim Ki-rim’s civilizational thinking leads us to revisit the question of what relevance his declaration of the “end,” “collapse,” or “settlement” of modernity still holds for our contemporary moment. It also invites us to reexamine the continued validity—or temporal efficacy—of his thought today.
목차
1. 머리말: 김기림의 문명적 사유를 다시 읽고자 하는 이유
2. 일제말 문명적 사유에 동원되는 범주연관들의 불확실성과 모호성
3. 추상과 비대칭 - 김기림의 근대인식과 동양관
4. 문명적 전환을 사유한다는 일의 어려움: 맺음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문학논총 제100집 목차
- 부산미술의 형성과 재편(再編): 1920~1960년대 서양화단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전쟁기 부산 국악사회의 동향과 활동
- 『입심기(入瀋記)』 소재 신시(贐詩) 연구
- 법무부 형정국 발행 월간 『새길』의 매체 전략 연구
- 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과 부산
- 정전협정 이후 부산음악사회의 현실과 지향
- 현대시조 형식론의 양상과기본형 정립의 방향
- 문명적 사유의 임계점 - 김기림 비평의 근대인식과 동양관의 추상성에 관하여
- 박두진 시의 기독교적 유토피아 의식 연구
- 1980년대 문학·문화운동 관련 담론에 나타난 ‘대중’ 인식 - ‘대중’ 개념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 전시체제기(1937-1945) 노래운동과 감정의 문화정치
- 죽음과 애도로 본 본풀이 속 좌정 처(處)의 의미 탐색 - <초공본풀이>와 <이공본풀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ChatGPT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사례와 교육 방안 고찰 - H대학교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