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ristian Idea of Utopia in Park, Du-Jin's Poem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경복(Kyung-B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100집, 407~44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박두진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유토피아 의식을 연구한 논문이다. 그렇기에 이 논문은 반영론적 관점에다 작가의 의식을 주목하는 표현론적 관점을 결합하여 연구하고 있다.
유토피아 사상은 당대의 부정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가진 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사회상을 제시하는 의식의 형태를 띤다. 기독교의 메시아의식은 바로 이 유토피아 사상의 측면과 매우 상통하므로 한국 근현대 비극적인 역사를 겪은 박두진은 기독교 신앙인이자 지식인의 한 사람으로 기독교적 유토피아 의식으로 당대 현실에 대응한 시작을 하고 있다.
박두진의 작품의 특성을 시기적으로 요약하면 먼저, 일제 강점기의 시들은 현실의 부정성을 일본 군국주의의 침략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민족의 현실을 ‘처참한 밤’, ‘황폐한 땅’ 등의 이미지로 제시하면서, 침략자를 ‘뱀’ 등의 악한 짐승의 이미지로 우의화하여 ‘사탄’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시기 기독교적 유토피아 사회상은 이사야의 천국 이미지를 빌려와 강자와 약자가 공존하며 살아가는 ‘청산’의 이미지로 대안적 사회상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이 시기는 일제의 힘이 너무나 강고하기에 신의 섭리와 심판에 의해 진행되는 유토피아 사회상을 그려 보여주는 점이 강하나 밑바탕엔 당대 사회의 모순을 인간들의 노력으로 극복해야 할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도 볼 수 있다.
둘째, 해방 후 4·19혁명 시대, 6, 70년대 박정희 군부독재 시대를 배경으로 한 시들은 당대 사회의 부정성을 매우 구체적으로 지적하면서 현실의 문제점을 비판함을 보여준다. 4·19혁명 시기의 시들은 이승만 독재 정권의 부정부패에 대해 ‘정치악’, ‘사회악’ 등의 이미지를 부여하여 비판하였고, 박정희 군부독재 시대의 현실에 대해서는 자유가 억압된 모습을 ‘식민지 노예’, ‘봉쇄의 입’, ‘묶인 자유’ 등의 이미지로 제시하여 당대 현실 사회의 억압적 현실의 문제성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이에 대응한 유토피아 사회상의 모습으로 4·19혁명과 관련된 시에서는 당시 민중에 의해 선취될 ‘절대 자유’가 보장된 ‘민주공화국’을 제시하고 있는데, 절대라는 말이 가지는 함의에 따라 신의 섭리가 지배하는 신국의 이미지가 배어들어 있어 기독교적 유토피아 사상의 측면을 보여준다. 박정희 군부독재 시대에 대응한 유토피아 사회상의 시도 ‘새 하늘과 새 땅’의 이미지로 제시됨으로써 성경에서 제시되는 하나님 나라의 속성을 띤 채 인간의 노력에 의해 건설될 이상적 사회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박두진 시의 유토피아 의식은 당대의 현실에 대한 부정성에 통렬한 비판의식을 전제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이상적 사회상을 기독교적 메시아 사상에 입각하여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박두진은 기독교 유토피아 의식을 자신의 삶과 세계에 견지하고 있으나 당대 현실에 대한 인간의 참여와 노력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여 인간의 노력으로 지상에 건설될 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염원을 그의 생애 내내 추구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arting point of Park Du-Jin's poems lies in the concern in the eternity and life of nature. Nature in his poems, especially nature represents the symbol of stability and abundance.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Park, Du-Jin's poems is to have a certain meaning in relation to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n other words, the mountai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the meaning of utopia contrasted to the dark reality at that time.
Many writers point out that the characteristic of his poems is the idea of utopia.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regard the characteristic of his poems as the idea of utopia in that they present the Christian idea of utopia where all animals and plants live peacefully with the mountain as its background.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his poems cannot be simply regarded as the idea of utopia in that they continuously expressed the figures of an ideal society in relation to the reality a that time. The consistent idea in his poems is the idea of utopia to construct the ideal society figure with human's own power in that his poems sought for the righteous and peaceful life of the people at that time. In other words, the idea is not the idea of religious salvation but the one of ideal society figure to criticize against the reality and overcome it.
Therefore the poems of Park, Du-Jin may be regarded as the symbol to establish an ideal society figure with the subject of nature based on Christian ideology. The essence of this symbol does not lie in the religious salvation but the idea of utopia to reform the reality. Thus, the characteristic of the poems of Park, Du-Jin is to express the idea of utopia which is the representation of Christian idea of utopia reflecting his religious background.
목차
1. 서론
2. 제국주의 현실 비판과 하나님 나라 추구의식
3. 타락한 사회현실 비판과 신성 사회구현의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문학논총 제100집 목차
- 부산미술의 형성과 재편(再編): 1920~1960년대 서양화단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전쟁기 부산 국악사회의 동향과 활동
- 『입심기(入瀋記)』 소재 신시(贐詩) 연구
- 법무부 형정국 발행 월간 『새길』의 매체 전략 연구
- 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과 부산
- 정전협정 이후 부산음악사회의 현실과 지향
- 현대시조 형식론의 양상과기본형 정립의 방향
- 문명적 사유의 임계점 - 김기림 비평의 근대인식과 동양관의 추상성에 관하여
- 박두진 시의 기독교적 유토피아 의식 연구
- 1980년대 문학·문화운동 관련 담론에 나타난 ‘대중’ 인식 - ‘대중’ 개념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 전시체제기(1937-1945) 노래운동과 감정의 문화정치
- 죽음과 애도로 본 본풀이 속 좌정 처(處)의 의미 탐색 - <초공본풀이>와 <이공본풀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