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산미술의 형성과 재편(再編): 1920~1960년대 서양화단 활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Formation and Reorganization of Busan Art: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Western Art Troupe in 1920s and 1960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정종효(Jong-Hyo Cheo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100집, 5~4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의 범위는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부산의 서양화단 중심으로, 작품이 아닌 활동 양상의 재편 현상을 논하였다. 일제강점기의 형성을 시작으로 한국전쟁, 휴전과 환도 등의 역사적 전환점에 따라 몇 차례 격변했던 과정은 부산화단이 성장한 중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부산의 개항 후 일본인 유입이 증가하고 일본 미술인도 부산에서 새로운 활동을 하면서 화단은 다수의 일본 미술인을 포함해 생성했다. 해방을 맞이하면서 부산 미술인만으로 재편되었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한 피란수도기에는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몰려든 미술 인구가 혼재하는 양상을 보였다. 부산미술은 유입된 화가들로부터 활동 방식과 제작 방식에 영향을 받게 되고, 부산 미술인의 창작 활동을 위해 의지를 결집하게 되었다. 종군 화가 단의 활동은 전쟁으로 인해 새로운 성향으로 등장했다. 휴전협정이 성사되고 유입 작가 대부분이 본거지로 돌아가면서 부산은 다시 부산 미술인만으로 화단을 재편하게 되었다. 1960년대 부산의 화단은 독립적이고 기존의 회화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동인전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표현에 대한 의지를 담론으로 이어가기 시작했고, 특히 혁동인, 군록회, 이후작가회는 1990년대까지 이어져 후배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이젤 페인팅을 거부하고 전위미술을 표방하는 작가들의 의지가 결집하거나, 비속적인 일상생활에서 쓰는 기성품 오브제를 대상으로 선택하여 재료를 사용한 용기와 실험 심리가 활동에 등장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형성과 피란 수도와 환도기의 대립적 양상, 그리고 1960년대 독립적인 부산미술의 재편현상을 이와 같이 정립하고 시기별 후속 연구를 위한 계기가 되었다.

영문 초록

From the 1920s to the 1960s, the scope of this plan was centered on the Western painting companies in Busan, and the phenomenon of reorganization of activity patterns rather than works was discussed. The activities of the Western painting companies changed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such as the Korean War, the armistice, and the transition, starting with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because it was an important period when the Western painting companies of Busan grew. After opening a port, the influx of Japanese increased, and Japanese artists also engaged in new activities in Busan, creating flowerbeds, including a number of Japanese artists. It was reorganized only with Busan artists as it faced liberation, but during the period of the evacuation, the art population from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Seoul, showed a mixed pattern. Busan art was influenced by the way of activities and production from the influx of painters, and the will for Busan's own creative activities was gathered.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the military artists group emerged as a new tendency. However, as the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and most of the influx of artists returned to their home base, Busan reorganized the flowerbed only with Busan artists. In the 1960s, the bottom of Busan showed a pattern of continuing new attempts that were independent and deviated from the existing paintings.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Donginjeon activities, the will for expression began to lead to discourse, and in particular, Hyukdongin, Gunnokhoe, and Later Artists' Association continued until the 1990s, influencing junior artists. The will of artists who reject easel painting and advocate avant-garde art is gathered, or courage and experimental psychology using materials by selecting ready-made objects used in vulgar daily life appear in the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establish the form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confrontational aspects of the evacuation capital and the circadian period, and the reorganization of independent Busan art history in the 1960s and contribute to subsequent research.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부산미술의 형성과 재편(再編)
3. 맺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종효(Jong-Hyo Cheong). (2025).부산미술의 형성과 재편(再編): 1920~1960년대 서양화단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 5-43

MLA

정종효(Jong-Hyo Cheong). "부산미술의 형성과 재편(再編): 1920~1960년대 서양화단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2025): 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