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입심기(入瀋記)』 소재 신시(贐詩)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Farewell Poems Included in Ipsimgi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채우잠(U-Jam Chae)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100집, 171~20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의 연행록인 『입심기(入瀋記)』에 수록된 신시(贐詩)의 창작배경과 내용상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먼저, 『입심기』의 창작배경이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 혼선을 빚었던, 『입심기』가 산출될 수 있었던 저자와 사행연대를 살폈다. 『입심기』는 1723년 사행에 참여한 李宜萬의 기록이 아니라 1783년 사행에 참여한 정사 李福源의 둘째 아들인 李晩秀와 조카인 李田秀가 기록한 사행록이되 주저자는 이전수였다. 둘째, 贐詩의 창작배경을 살폈다. 조선은 건륭황제의 심양 유람과 생신을 축하하기 위한 사절단을 심양에 파견하였는데, 이복원이 정사에 선발되고 둘째 아들인 이만수와 조카인 이전수도 사행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연안 이씨 집안은 대대로 중국과 깊은 인연을 맺고 사행길에 올랐는데, 1783년에 다시 성절겸심양문안사 정사가 탄생하고 임금에게 贐詩까지 받게 되었다. 이에 정조가 내린 贐詩에 세 사신과 함께 이학원ㆍ이전수가 和韻詩를 짓고, 친지들도 그들을 위해 송별시문을 남기게 된 결과 「御製贐詩」와 「親朋贐詩」가 탄생하게 되었다. 다음은 『입심기』의 내용상의 특징이다. 첫째, 적임자 발탁에 대한 칭송과 사행 참여의 자부심이다. 정조는 신시에서 중요한 외교 임무를 수행할 적임자는 자신의 생각을 잘 아는 이복원 뿐이라며 최고의 신뢰를 보였다. 자제군관으로 참여한 이만수ㆍ이전수도 송별객으로부터 뛰어난 학식과 文才로 사행의 적임자로 칭송을 받았다. 둘째, 대명의리의 존숭과 배청의식의 표출이다. 심양은 병자호란의 패배로 왕세자는 물론 수많은 조선 백성들이 끌려가 비참한 삶을 산 고통의 공간이었기에 정조를 비롯한 송별객들은 한결같이 숭명배청의식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다. 셋째, 壯遊의 실현과 능력 발휘에 대한 기대이다. ‘壯遊’는 당시 선비라면 누구나 꿈꾸는 소망으로, 송별객들은 이전수, 이만수 두형제가 사행을 통해 장유를 이루고 자신의 능력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기를 소망하였다. 넷째, 무더운 여름 날씨에 대한 걱정과 무사귀환의 희구이다. 1783년 성절겸심양문사행은 보통 때와 달리 한참 더운 음력 6월로 정조를 비롯한 송별객들의 시문에는 이들이 더위를 잘 견딘 후 무사히 돌아올 수 있기를 기원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eative context and thematic features of the farewell poems documented in Ipsimgi, a Yeonhaegrok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begin with, regarding the composition background of Ipsimgi: First, this research clarifies previous scholarly confusion concerning the authorship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mission. Contrary to earlier assumptions that attributed the work to Lee Eui-man, a member of the 1723 envoy, Ipsimgi was actually co-authored in 1783 by Lee Man-soo and Lee Jeon-soo, the second son and nephew of Chief Envoy Lee Bok-won, respectively. Among them, Lee Jeon-soo served as the principal writer. Second, the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surrounding the creation of the farewell poems. The Joseon court dispatched a diplomatic mission to celebrate the Qianlong Emperor’s inspection tour of Shenyang and the Emperor’s Longevity Festival. Lee Bok-won was appointed as chief envoy, and his son Lee Man-soo and nephew Lee Jeon-soo were permitted to accompany the delegation. The Yean Lee clan had long maintained close ties with China, and in 1783, they once again produced the chief envoy for the dual occasion. In recognition, King Jeongjo composed royal farewell poems. In response, the three envoys, along with Lee Hak-won and Lee Jeon-soo, composed matching-rhyme poems, and friends and relatives also contributed farewell verses. These collectively formed the collections titled “Royal Farewell Poems” and “Farewell Poems by Friends and Family.” As for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Ipsimgi: To begin with, the text reflects praise for the envoys and a profound sense of pride in participating in the diplomatic mission. In the royal farewell poem, King Jeongjo highlights that only Lee Bok-won, who thoroughly understood the monarch’s will, was worthy of shouldering such a diplomatic duty-an expression of absolute trust. Meanwhile, Lee Man-soo and Lee Jeon-soo were lauded by their well-wishers for their exceptional scholarship and literary accomplishments, and were hailed as ideal representatives of the mission. In addition, the poems reveal a reverence for the moral orthodoxy of the former Ming dynasty and an undercurrent of anti-Qing sentiment. Given that Shenyang had been the site where the crown prince and common people of Joseon suffered captivity after the Bingzi Invasion, both the royal and farewell poems consistently express a strong ideological stance of “honoring the Ming and rejecting the Qing”. Moreover, the poems express the aspiration to undertake a Jangyu (Grand Journey) and demonstrate one’s intellectual talents. Such a journey was a shared dream among the Joseon literati, and the send-off poems conveyed hope that the brothers Lee Jeon-soo and Lee Man-soo would fulfill this ideal during the diplomatic trip, fully showcasing their capabilities. Finally, the writings also express concern over the extreme summer heat and offer prayers for the safe return of the mission. The 1783 envoy journey took place during an exceptionally hot sixth lunar month, and the poems by King Jeongjo and the senders include sincere wishes that the delegation would overcome the oppressive heat and return home safely.

목차

1. 머리말
2. 『入瀋記』 소재 ‘贐詩’의 창작 배경
3. 『入瀋記』 소재 贐詩의 내용상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우잠(U-Jam Chae). (2025).『입심기(入瀋記)』 소재 신시(贐詩) 연구. 한국문학논총, (), 171-201

MLA

채우잠(U-Jam Chae). "『입심기(入瀋記)』 소재 신시(贐詩) 연구." 한국문학논총, (2025): 171-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