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古代의 香料 取得과 消費

이용수  6

영문명
Acquisition and Consumption of Incense in Ancient Korea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이수민(Su-min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50집, 417~459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 고대 사회에서 향료가 유입된 경로와 소비 방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즉 향료의 유입과 유통 과정에서 나타난 향료 문화의 형성과 그 사회적 의미를 다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향료는 불교 수용 이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만, 외부 세계로부터의 향료 유입은 승려를 통한 유통과 국가 간 교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눌지왕 대 양나라 사신을 통해 향료를 하사받은 사례는 신라 왕실이 외래 향료를 처음 접한 시기를 보여준다. 또 고구려 승려 묵호자가 향료의 명칭과 사용법을 전했다는 기록은 향료가 단순한 수입품이 아니라 문화적 매개체였음을 시사한다. 새로운 향료 유입으로 발생한 변화를 살피기 위해 기원전의 향료 인식을 검토하였다. 초기에는 향료를 신성시하고 보호하는 태도가 강했으나, 이후 유입된 외래 향료가 기존 향료의 가치를 대체하면서 변화가 나타났다. 413년 실성왕의 금벌령과 난초・혜초 관련 기록은 이러한 변화를 보여준다. 새로운 향료에 대한 선호는 매향과 같은 독자적 향료문화의 형성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향료는 종교 의례, 장례, 질병 치료, 위생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었으며, 권위를 드러내거나 신분을 구분하는 도구로 기능하였다. 8세기 이후 외래 물품 선호 사상이 과도해지자 흥덕왕은 사치 금지령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였다. 본고는 향료라는 물질을 통해 고대 한국의 대외 교류, 종교 수용, 신분 질서 등 역사적 현상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외국의 다양한 사례와 고고학적 자료를 활용한다면 향료 문화에 대한 연구의 외연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hways through which incense was introduced into ancient Korean society and examines how it was consumed within various social contexts. Specifically, it offers a multilayered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incense culture and its social significance, as revealed through its importation and distribution. Although incense was likely used even before the adoption of Buddhism, the influx of foreign incense largely occurred through Buddhist monks and interstate trade. A notable example is the record of incense being bestowed upon the Silla court by envoys from the Lia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Nulji, which suggests an early point of contact with imported incense. Additionally, a Goguryeo monk named Mukhoja(墨胡子) is recorded to have transmitted the names and uses of incense, indicating its role not merely as an imported good but as a cultural intermediary.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s that followed the introduction of new incense types, this study also examines earlier perceptions of incense. In earlier periods, incense was regarded as sacred and protected, but the subsequent influx of foreign incense shifted these perceptions by displacing the prestige of native materials. This shift is reflected in historical sources, such as King Silseong’s 413 decree banning the felling of incense trees and records concerning native aromatic plants like Nancho(蘭草) and Hyecho(蕙草). The growing preference for imported incense eventually led to the emergence of uniquely local practices, such as maehyang(埋香), the burial of incense to generate fragrance over time. The consumption of incense in ancient Korea spanned a wide range of contexts-including religious rituals, royal funerals, medical treatments, and the purification of spaces-while also serving as a symbol of authority and social hierarchy. As the preference for foreign luxury goods-including incense-became excessive in the eighth century, King Heungdeok issued a sumptuary decree to restrict their use. Through the lens of incense,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historical phenomena in ancient Korea, including foreign relations, the reception of Buddhism, and the structure of social hierarchy. Future research incorporating archaeological evidence and foreign case studies will help expand the scope of incense culture studies in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향료의 취득 방법
Ⅲ. 향료의 소비 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민(Su-min Lee). (2025).韓國 古代의 香料 取得과 消費. 한국고대사탐구, (), 417-459

MLA

이수민(Su-min Lee). "韓國 古代의 香料 取得과 消費." 한국고대사탐구, (2025): 417-4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