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rom Sacred Relics of India to Sacred Sitesof China: Changes in Buddhist Ideologyand Foreign Relations in Medieval China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소현숙(Hyun-sook So)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50집, 63~9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불교적 세계관에 의하면, 세상의 중심은 인도며 중국은 변방에 불과했다. 불교의 전래 이후 인도 중심의 세계관은 중국 고유의 中華中心 세계관과 충돌하며 중국인들에게 邊地意識을 갖게 했다. 전통적 천하관 아래 天子로서 ‘중국’을 다스렸던 6~7세기 중국의 불교도 황제와 護法을 위해 황권에 의탁할 수밖에 없었던 승단은 ‘중국이 변방’이라는 불교적 세계관과 중국 중심의 전통적 세계관 사이의 충돌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했을까. 한편, 중국인의 변지의식은 8세기에 이르면 어느 정도 극복되었는데, 이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났을까. 본고는 ‘인도 성물에 대한 숭배에서 중국 성지신앙으로’라는, 불교이데올로기의 변화를 통해 그 답을 찾고자 하였다.
인도 성물의 숭배는 ‘인도에서 유래한’, 그리하여 불교적 정통성을 가진 ’진신사리와 眞容像’에 대한 신앙이다. 6~7세기 전반, 이를 대표하는 것은 인도 아육왕이 만들었다고 전래되는 탑과 불상에 대한 숭배였다. 숭불황제로 알려진 梁 武帝의 阿育王塔像 숭배에서 전형적인 사례를 찾을 수 있다.
7세기 후반, 중국 五臺山에 佛法을 부촉 받은 문수보살이 常住하고 있다는 이데올로기가 등장하면서 인도 성물 숭배는 쇠퇴했다. 보살이 상주하는 중국 내 성지의 탄생은 중국이 더 이상 불교의 변방이 아니라 중심이라는 인식의 산물이었다. 결과적으로, 중국인들은 이와 같은 중국 성지의 조작을 통해 변지의식을 극복하여 갔다.
7세기 후반 중국에서 전개된 ‘인도 성물에서 중국 성지로’의 신앙 양상의 변화는 매우 점진적으로 전개되었는데, 이는 동시기 중국 불교학의 발달, 중국과 인도의 국력 변화, 그리고 중세기 印度에 대한 인식 및 대외교류의 변화 등 다양한 층위에서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Buddhist world view, India was regarded as the center of the world, while China was merely a borderland. Following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his India-centered perspective came into conflict with China’s indigenous Sinocentric world view, leading the Chinese to develop a borderland complex. During the 6th and 7th centuries, under the traditional Tianxia(天下) system in which the emperor governed “China” as the Son of Heaven(Tianzi. 天子), Buddhist emperors and the sangha-who had no choice but to depend on imperial authority for the protection of Buddhism-were compelled to find a way to reconcile the Buddhist perception of China as a peripheral region with the traditional Sinocentric world view. By the 8th century, however, this borderland complex among the Chinese had been to some extent overcome. This transformation was reflected in a shift in Buddhist ideology-from the worship of Indian relics to the veneration of sacred sites within China. This paper seeks to study how this ideological transition contributed to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competing world views and to the eventual overcoming of the borderland complex.
The veneration of Indian relics refers to the worship of ‘true relics(śarīra)’ and ‘true images(zhenrongxiang, 眞容像)’, which originated in India and were thus regarded as possessing authentic Buddhist legitimacy. From th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this was most prominently represented by the worship of stupas and Buddha statues that were believed to have been created by Emperor Ashoka of India. A quintessential example of this is found in Emperor Wu of Liang Dynasty-known as the “Buddha-worshiping emperor”-who devoutly revered Ashokan stupas and Ashokan images.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he ideology emerged that Mañjuśrī Bodhisattva, to whom the Dharma had been entrusted, resided permanently on Mount Wutai in China. As a result, the veneration of Indian relics declined. The emergence of sacred sites within China-where bodhisattva were believed to dwell-reflected a growing perception that China was no longer a borderland of Buddhism, but its center. Consequently,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recognition of such sacred sites within China, the Chinese gradually overcame the borderland complex.
The shift in religious devotion during medieval China-from the worship of Indian relics to the veneration of Chinese sacred sites-unfolded as a gradual and nuanced process. This transformation was closely linked to changes on multiple level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t scholarship, shifts in the relative power dynamics between China and India, evolving perceptions of India, and broader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medieval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邊地意識과 인도 聖物에 대한 관심
Ⅲ. 중국 내 佛敎聖地의 출현과 변지의식의 극복
Ⅳ. 불교이데올로기의 변화와 대외관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고대사탐구 제50집 목차
- 『화랑세기』와 신라사 “100년 통설” 간의 역사 전쟁
- 印度의 聖物에서 中國의 聖地로 - 중국 중세기 불교이데올로기의 변화와 對外關係
- 「광개토왕비」 天下觀 속 이종족지배 이념의 기원
- 百濟 聖王代의 儒佛 統治理念
- 신라 성덕왕의 유교적 통치 질서 확립과 대당 외교
- 고대 일본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 기자조선설의 한국사 편입 과정 연구 - 고려~조선초를 중심으로
- 상고기 신라 金城의 위치와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
- 연개소문의 집권과정에 대한몇가지 재검토 - 출신부와 초기 직책을 중심으로
- 신라 통일 이후 祀典體制의편제와 그 의미 - 백제 故地에 대한 산천제사를 중심으로
- 韓國 古代의 香料 取得과 消費
- 고구려 관모의 변용에 대한 검토
- 고구려 칠실총 출토 철경 연구
- 唐代 靺鞨系 高句麗人 蕃將李多祚 一家의 휘하집단 - 「李承嗣墓誌」의 분석을 실마리로
- 대가야의 대남제 외교 재론
- 무령왕릉의 酉地는 어디일까?
- 『연경재전집』을 통해 본성해응의 역사학과 역사방법론 - 성해응(1760~1839)의 한국 고대사 見聞錄
- [번역] 唐의 新羅質子 金泳 墓志 考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