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고기 신라 金城의 위치와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

이용수  3

영문명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Location and Spatial Scope of Geumseong (金城) in Early Silla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이부오(Bu-o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50집, 321~35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 상고기 金城의 위치에 대한 서술은 『삼국사기』 신라본기 자체 내에서, 그리고 동 지리지나 『삼국유사』 기이편과의 비교에서 모두 모순이 확인된다. 신라본기 찬자들은 금성의 상황을 일관되게 기술하려 노력했으나, 다양한 층위로 기술된 저본들 간의 모순을 해결하지 못한 채 봉합해 넣었다. 이는 금성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기술한 저본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사실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다. 이와 관련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서는 금성이 경주읍성 일대에 있다고 했으나, 이는 현종 3년(1012) 경주읍성이 건립된 이후 이곳이 경주를 대표한다는 인식이 생겨난 결과다.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금성이 월성 서북쪽에 위치한다고 기술한 것은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기록과 신라본기 및 『삼국유사』 기이편에 보이는 금성 위치 기록은 서로 모순되지만, 사로국의 國邑과 主帥가 등장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상호 보완적 측면도 보여준다. 사로국에 구축되었다고 기록된 금성의 실체는 남산 서록에 위치한 국읍성이었다. 사료상 탈해이사금대에 등장하는 금성은 후대의 月城 지역을, 파사이사금대 초의 것은 남산 서록을, 파사이사금 22년 이후의 것은 월성을 가리킨다. 당시 금성은 宮城을 가리키며, 그 안에 宮室이 존재했다. 이후 궁성을 포함한 도시구역이 형성되면서 점차 京都를 이루었다. ‘金城’은 사로국 즉 徐伐의 城을 한자로 아화한 표현이다. 이러한 병칭의 변경은 唐과의 교류가 확대된 7세기 초 이후에 도성 일대를 대외적으로 내세우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뒤에는 금성이 月城과 滿月城에 한정하거나 王京 전체를 가리키기도 했다. 나아가 기존 월성뿐 아니라 남산 서록에 위치했던 국읍성까지 금성이라 부르게 되었다. 통일신라기를 거치면서 두 지역의 금성을 서로 혼동하여 부르는 경우가 생겨났다. 경주읍성이 건립되면, 이 일대를 금성으로 여기는 인식이 형성되어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용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말한 경주읍성 동쪽의 금성도 위와 같은 인식에서 파생되었다.

영문 초록

Descriptions of the location of Geumseong(金城) during the early period of Silla are inconsistent not only within the Samguk Sagi’s Sillabongi(新羅本紀) but also when compared with its Jyriji(地理志) and the Samguk Yusa’ Kyea(紀異) section. Although the compilers of the Sillabongi attempted to describe changes in Geumseong consistently, they failed to reconcile contradictions among the various source materials and ultimately incorporated them without resolution. These discrepancies are the result of a failure to properly grasp the facts in accepting different source texts describing the position of Geumseong. The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introduced that Geumseong had been located around Gyeongju-Eupseong(邑城), but this reflects a later perception that developed after that was constructed in the third year of King Hyeonjong of Goryeo(1012), becoming the symbolic center of Gyeongju. This perception influenced the description in the Samguk Sagi’s Jyriji that Geumseong had located northwest of Wolseong(月城). The substance of Geumseong mentioned as the capital of Saro-State referred to the state fortress located on the western foothills of Namsan(南山). In historical records, Geumseong during the reign of Talhae Isageum refers to Wolseong, while in the early years of Pasa Isageum’s reign the fortress mentioned above, and after the 22nd year of his reign, it refer to Wolseong. At the time, Geumseong denoted the royal fortress, which housed the royal palace. Afterwards, as urban areas were gradually added, the urban capital was formed. The term “Geumseong” is a Sino-transliteration of the fortress of Seobeol(徐伐), the fortress of Saro-State. From the early 7th century, with increasing interaction with Tang China, the term began to denote the capital castle in order to promote it to the outside world. Later, the term came to refer specifically to either Wolseong or Manwolsong(滿月城), or more broadly to the entire royal capital. Both the original fortress on Namsan’s western slope and Wolseong came to be called Geumseong, resulting in confusion between the two sites until the Unified Silla. After the construction of Gyeongju-Eupseong, this area was newly perceived as Geumseong, an idea that was incorporated into the Jyriji of the Samguk Sagi. The reference to Geumseong, the east of Gyeongju-Eupseong, in the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also stemmed from this revised percep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城 위치에 대한 기록의 층위
Ⅲ. ⾦城 위치와 공간 기록에 나타난 문제의 해결 방향
Ⅳ. ⾦城 위치와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부오(Bu-o Lee). (2025).상고기 신라 金城의 위치와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고대사탐구, (), 321-354

MLA

이부오(Bu-o Lee). "상고기 신라 金城의 위치와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고대사탐구, (2025): 321-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