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ing Silla's State Ceremonial System : The Rites for Mountain and Streamin the Former Baekje Territory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박초롱(Cho-r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50집, 387~41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통일 신라의 사전체제 편제 과정에서 舊 백제 지역의 산천제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재편・통합되었는지를 규명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신라는 통일 이후 왕권 강화를 위한 국가 통치 전략의 일환으로 대사・중사・소사로 구분되는 사전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러한 체제는 단순히 중국의 예제를 모방한 것이 아니라, 신라 고유의 산천 신앙과 지리적 현실에 기반하여 독자적으로 변용된 결과물이다. 특히 백제 지역의 명산대천이 신라 사전체제에 포함됨으로써, 기존 지역 공동체의 신앙 체계가 국가 제의 질서로 흡수・통합되었다. 이를 통해 신라는 왕 중심의 질서를 확립하고, 피정복 지역에 대한 정치적 지배를 제의적 측면에서도 정당화하였다. 또한 산천에 대한 왕의 제사 행위를 통해 왕권의 신성성과 통치 권위를 시각화하고, 지역 세력을 상징적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ation and significance of Silla's state ceremonial system (祀典體制), focusing on the rites for mountain and stream (山川祭祀) conducted in the former territories of Baekje. In governing its expanded territory after unification, Silla actively incorporated traditional mountain and stream beliefs into the framework of national rites (國家祭祀), utilizing them as a core ideological basis for state governance. In particular, the state ceremonial system centered on the Great Mountains and Stream (名山大川) functioned not merely as a set of religious practices, but as a political and religious apparatus that institutionalized the state's ruling ideology and legitimized royal authority. In this regard, Silla's inclusion of mountain and stream sites in former Baekje regions was not simply for religious purposes, but rather served as a symbolic measure to assert political integration and control, strategically utilizing the military and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these locations.
Notably, Silla deliberately excluded the Three Mountains (三山), which were once revered as protectors of Baekje's royal authority, while incorporating sites such as Gyeryongsan and the Geumgang River, where previous ritual traditions existed. This indicates a calculated policy to appropriate local sacredness while implanting a new order of rule. Furthermore, the inclusion of major mountain and stream sites such as Garimseong, Dongroak, and Seodasan-former battlefields between Baekje and Silla-demonstrates a decision informed by the historical and military significance of these areas, serving as a symbolic reaffirmation of Silla's royal supremacy. Under the state ceremonial system, the king of Silla exclusively presided over the rites, and this monopolization of sacrificial authority functioned as a key mechanism for strengthening royal legitimacy and authority.
Ultimately, the rites for mountain and stream played a crucial role in symbolically unifying the newly expanded territory of Silla after unification, including the former Baekje domain. The organization of these rites simultaneously absorbed regional sacredness and reconstituted sacred spaces under a new royal order, functioning as a political strategy for ideological and religious conquest beyond mere military subjug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 사전체제의 정립
Ⅲ. 백제 산천제사의 전개 양상
Ⅳ. 산천제사의 재편과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고대사탐구 제50집 목차
- 「광개토왕비」 天下觀 속 이종족지배 이념의 기원
- 百濟 聖王代의 儒佛 統治理念
- 고대 일본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 기자조선설의 한국사 편입 과정 연구 - 고려~조선초를 중심으로
- 상고기 신라 金城의 위치와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
- 대가야의 대남제 외교 재론
- 『연경재전집』을 통해 본성해응의 역사학과 역사방법론 - 성해응(1760~1839)의 한국 고대사 見聞錄
- 『화랑세기』와 신라사 “100년 통설” 간의 역사 전쟁
- 印度의 聖物에서 中國의 聖地로 - 중국 중세기 불교이데올로기의 변화와 對外關係
- 신라 성덕왕의 유교적 통치 질서 확립과 대당 외교
- 연개소문의 집권과정에 대한몇가지 재검토 - 출신부와 초기 직책을 중심으로
- 신라 통일 이후 祀典體制의편제와 그 의미 - 백제 故地에 대한 산천제사를 중심으로
- 고구려 칠실총 출토 철경 연구
- 韓國 古代의 香料 取得과 消費
- 고구려 관모의 변용에 대한 검토
- [번역] 唐의 新羅質子 金泳 墓志 考略
- 무령왕릉의 酉地는 어디일까?
- 唐代 靺鞨系 高句麗人 蕃將李多祚 一家의 휘하집단 - 「李承嗣墓誌」의 분석을 실마리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