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ncorporation of the Kija Joseon Theory into Korean Historiography: Focusing on the Goryeo to Early Jose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조원진(Won-chin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50집, 275~320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자조선설이 고려 후기에 처음 등장한 이후, 조선 초에 이르러 한국사 체계로 정착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기자조선설은 본래 중국에서 형성된 외래 전승으로, 한대 이래 윤색된 전승이다. 한국 고대 국가 내부에는 고유의 시조 인식과 단군을 중심으로 한 고조선 전승이 존재하였다. 기자조선을 하나의 독립된 역사 시대로 설정하는 인식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후 고려 전기에 접어들면서, 주변국들의 외교적 수사 속에서 기자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고, 유교문화의 확산, 중국 귀화인의 활동, 송문화의 유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기자에 대한 인식은 점차 확대되고 심화되었다. 특히 외교문서에서의 기자 언급은 고려가 자발적으로 활용한 결과라기보다, 후당이 태조16년(933)에 먼저 기자를 언급한 이후 100여 년이 지난 뒤인 문종 9년(1055) 요나라에 보낸 국서에서 비로소 나타났다. 이는 고려 내부에서 유교 문명이 점차 정착되며, 기자를 문명 담론 속 외교 자산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고려 후기에는 이승휴의 『帝王韻紀』에서 처음으로 왕검조선의 역사를 기자의 동래 이전 시기로 단절시키고,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을 구분된 시기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단군에서 기자로 이어지는 역사 체계가 처음으로 구체화되었다. 다만 이 시기에도 『三國遺事』와 같이 기자조선의 실존을 부정하는 인식은 여전히 공존하고 있었다. 원 간섭기를 거치며 성리학이 본격적으로 수용된 이후, 기자조선은 하나의 역사적 실체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였고, 단군과 기자가 병존하는 역사 인식도 점차 확대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기자조선이 새 왕조의 국호 결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점차 기자는 후조선의 시조로서 그 위상을 공고히 하였다. 『東國通鑑』 등 조선 전기의 관찬 사서에서는 고조선을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의 ‘삼조선’으로 정립함으로써, 기자조선은 한국사 체계 속에 확고히 자리잡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Kija Joseon theory (箕子朝鮮說), which first emerged in the late Goryeo period, became established within the framework of Korean historical narratives by the early Joseon period. The theory originated as an external tradition formed in China and was embellished through successive reinterpretations following the Han dynasty. Within the ancient Korean states, there existed an indigenous perception of ancestral origins and a distinct tradition centered on Dangun and Old Joseon. There is no evidence that Kija Joseon wa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historical period.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references to Kija began to appear within the diplomatic rhetoric of neighboring states. Concurrently, the spread of Confucian culture, the activities of Chinese immigrants, and the influx of Song dynasty culture worked in concert to gradually expand and deepen perceptions of Kija. Notably, Kija was first mentioned in Goryeo’s diplomatic documents in 1055 (9th year of King Munjong), over a century after the Later Tang first raised the figure of Kija in 933 (16th year of King Taejo). This delay suggests that the intellectual foundation necessary to reinterpret Kija as a diplomatic and civilizational asset had gradually developed within Goryeo through the internal consolidation of Confucian culture.
In the late Goryeo period, Yi Seung-hyu’s Jewang Ungi (帝王韻紀) marked the first attempt to sever the narrative of Wanggeom Joseon prior to Kija’s arrival and establish Kija Joseon as a distinct historical period, separate from Dangun Joseon. This work effectively systematized the historical schema linking Dangun to Kija. However, perceptions denying the historicity of Kija Joseon, such as those found in Samguk Yusa (三國遺事), continued to coexist during this time. Following the Yuan dynasty’s influence and the subsequent adoption of Neo-Confucianism, Kija Joseon increasingly came to be accepted as a historical reality, and the coexistence of Dangun and Kija in historiography became more widely recognized. In the Joseon dynasty, Kija Jose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cision of the dynastic name and Kija gradually came to be regarded as the founding ancestor of the Later Joseon. Official historiographical works of early Joseon, such as the Dongguk Tonggam (東國通鑑), codified the tripartite division of Gojoseon into Dangun Joseon, Kija Joseon, and Wiman Joseon. Through this, Kija Joseon became firmly established within the historical framework of Korea.
목차
Ⅰ. 서론
Ⅱ. 기자 인식의 변천과 확장
Ⅲ. 기자조선설의 형성과 정착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고대사탐구 제50집 목차
- 「광개토왕비」 天下觀 속 이종족지배 이념의 기원
- 百濟 聖王代의 儒佛 統治理念
- 고대 일본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 기자조선설의 한국사 편입 과정 연구 - 고려~조선초를 중심으로
- 상고기 신라 金城의 위치와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
- 대가야의 대남제 외교 재론
- 『연경재전집』을 통해 본성해응의 역사학과 역사방법론 - 성해응(1760~1839)의 한국 고대사 見聞錄
- 『화랑세기』와 신라사 “100년 통설” 간의 역사 전쟁
- 印度의 聖物에서 中國의 聖地로 - 중국 중세기 불교이데올로기의 변화와 對外關係
- 신라 성덕왕의 유교적 통치 질서 확립과 대당 외교
- 연개소문의 집권과정에 대한몇가지 재검토 - 출신부와 초기 직책을 중심으로
- 신라 통일 이후 祀典體制의편제와 그 의미 - 백제 故地에 대한 산천제사를 중심으로
- 고구려 칠실총 출토 철경 연구
- 韓國 古代의 香料 取得과 消費
- 고구려 관모의 변용에 대한 검토
- [번역] 唐의 新羅質子 金泳 墓志 考略
- 무령왕릉의 酉地는 어디일까?
- 唐代 靺鞨系 高句麗人 蕃將李多祚 一家의 휘하집단 - 「李承嗣墓誌」의 분석을 실마리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