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 일본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이용수  3

영문명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Ruling Ideology in Ancient Japan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박재용(Jae-yong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50집, 231~27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고대 일본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정치와 외교, 사회와 사상 등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초기 왜 왕권은 샤머니즘에 기반한 祭儀的 정치질서를 통해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했으며, 동시에 중국의 책봉체제를 활용하여 내부의 통합을 도모했다. 이후 氏姓制와 部民制를 통해 사회통제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면서 점차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 체제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정치적・제도적 변화 속에서 일본 고유의 天下觀이 형성되었고, 이는 지배이념과 사회질서를 뒷받침하는 핵심사상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고대 일본의 정치질서는 외래사상의 수용과 함께 중대한 전환기를 맞이했다. 특히 백제로부터 파견된 五經博士를 통해 유입된 유교의 정치사상과 禮制는 일본의 관료제와 신분제의 정비, 그리고 문서행정 체계의 기초가 되었다. 유교는 통치의 합리성과 규범성을 제공하는 이념적 틀로 기능하며, 국가운영 전반에 걸쳐 일정한 질서와 통합을 가능하게 했다. 이에 더해, 왕권의 신성성을 정당화할 종교적 기반으로 불교가 적극 수용되었다. 불교는 왕권과 불법의 일체화를 통해 정치와 종교를 통합하고, 새로운 통치사상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통치사상의 변화와 정착은 궁극적으로 天皇制를 중심으로 한 일본 특유의 지배 이데올로기 완성으로 이어졌다. 『古事記』와 『日本書紀』의 편찬은 일본 신화를 역사로 재구성하고 천황을 신격화함으로써, 일본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일본식 중화사상과 대외인식을 형성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아울러 율령제의 도입과 『新撰姓氏錄』의 편찬은 통치질서의 제도화를 촉진하고, 천황 중심의 정치이념을 체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결론적으로, 고대 일본의 지배 이데올로기는 씨족질서의 통제, 외래사상의 수용, 제도 개편, 역사 편찬과 계보 정리를 통해 천황의 신성성과 일본의 대외적 위상을 이념적으로 정비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완성되었다. 이는 단순한 지배 이념을 넘어, 동아시아 세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 복합적 결과로서, 고대 일본의 정치체제 형성과 대외전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cient Japanese governing ideolog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politics, diplomacy, society, and thought. In its early stages, royal authority secured its legitimacy through a ritual-based political order rooted in shamanism, while simultaneously striving for internal cohesion by utilizing the Chinese tributary system. As institutional foundations for social control were later established through the Uji-Kabane system and Bumin system, a centralized power structure gradually developed around the monarchy. Amid thes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transformations, Japan’s unique conception of ‘All Under Heaven’ emerged, functioning as a core ideology that supported both the ruling principles and social order. Ancient Japan’s political order underwent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through contact with foreign ideologies. In particular, Confucian political thought and ritual systems, introduced via the Five Classics Scholars dispatched from Baekj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Japan’s bureaucratic structure, social hierarchy, and system of written administration. Confucianism functioned as an ideological framework that provided rationality and normative order to governance, enabling a degree of organization and integration throughout state affairs. In addition, Buddhism was actively embraced as a religious foundation to legitimize the sacred nature of royal authority. By promot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king’s rule with Buddhist law, Buddhism facilitated the integ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eventually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governing ideology. These changes and the establishment of governing ideologies ultimately culminated in the formation of a uniquely Japanese ruling ideology centered on the Tenno system. The compilation of the 『Kojiki』 and 『Nihonshoki』 record a myth as a historical fact and deified the Tenno, constructing a Japan-centric worldview that resembled a localized version of Sinocentrism and shaped Japan’s perception of its place in the world. Moreover, the introduction of the Ritsuryo legal code and the compilation of the 『Sinsenshojiroku』 further institutionalized the political order and articulated a coherent political ideology centered on the Tenno. In conclusion, ancient Japan’s ruling ideology was the product of a gradual process involving clan-based social control, the selective adoption of foreign thought systems, institutional reform, and historical compilation. It ideologically codified the Tenno’s sacred authority and Japan’s external prestige. Far from being a mere set of political ideas, this ideology was a complex product of Japan’s interaction with the East Asian world, and offers critical insights into the formation of Japan’s political institutions and its external strategies in the ancient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초기 국가의 형성과 지배 담론
Ⅲ. 외래사상의 수용과 통치 정당성의 재편
Ⅳ. 천황제 국가의 성립과 이데올로기의 완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용(Jae-yong Park). (2025).고대 일본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한국고대사탐구, (), 231-274

MLA

박재용(Jae-yong Park). "고대 일본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변화." 한국고대사탐구, (2025): 231-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