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Upper Thoracic Spine Mobilization and Self-mobilization Exercise on Pain and Function of Non-Specific Neck Pain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이수영(Su-Young Lee) 황보각(Gak Hwangbo)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43~5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특이적 목 통증(Non-specific Neck Pain, NNP)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상부 흉추 관절 가동술과 자가 관절 운동의 병행 적용이 통증 감소, 경추 관절 가동범위(ROM) 개선 및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대구 소재 D정형외과를 내원한 만성 목 통증 환자 중 선정 기준을 충족한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군 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수행하였다. 실험군(n=15)은 상부 흉추 관절 가동술과 자가 관절 운동을 병행 적용하였고, 대조군(n=15)은 관절 가동술만 적용받았다. 운동 중재는 칼텐본 웨지를 이용해 바로 누운 자세 또는 엎드린 자세에서 상부흉추 움직임을 증진시키기 위한 관절가동술과 자가 관절 운동으로 구성되었고, 3회/1주, 4주간 연구자가 직접 운동지도를 하며 정확한 자세를 피드백하였다. 운동중재에 대한 평가 지표로는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경추 관절가동범위(Baseline Bubble Inclinometer), 목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군 모두 중재 후 VAS, ROM, NDI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그룹 간 비교 결과는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통증, 굽힘/폄/측면 굽힘 및 회전 등의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NDI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p<.05). 이것은 상부 흉추에 대한 관절 가동술과 자가 관절 운동의 병행 적용은 NNP를 가진 성인의 통증 감소와 관절 가동범위 및 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중재는 비특이적 목 통증 환자를 위한 통합적 물리치료 접근법으로서 임상적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향후 장기 효과와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ing upper thoracic joint mobilization and self-mobilization exercises on pain reduction,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adults with non-specific neck pain (NNP).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conducted with 30 adults diagnosed with chronic NNP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at an orthopedic clinic in Daegu,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 = 15), which received both upper thoracic mobilization and self-mobilization exercises, or the control group (n = 15), which received only joint mobilization. Interventions were administered three times per week over a four-week period.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pain, cervical ROM assessed with a Baseline Bubble Inclinometer, and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for functional disability.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VAS, ROM, and NDI scores after the intervention (p < .05).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in pain reduction, flexion/extension, lateral bending, rotation ROM, and NDI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5). The combined application of upper thoracic joint mobilization and self-mobilization exercises prove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pain and improving cervical ROM and functional outcomes in adults with NNP. Therefore, this integrated intervention shows high clinical utility as a physical therapy approach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neck pain. Further research, including long-term follow-up and a broader age range, is warra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재활·복지 제6권 제2호 목차
- [Editorial] ‘운동재활·복지’의 성취와 도전
-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남자 골프선수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비교분석
- 중국 대학생의 좌업생활과 신체활동 강도에 따른 체성분 및 수면의 질 관계: 등시간대체모형분석
- 하지정맥부전 환자에서 하지 정렬 유지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운동치료가 정맥 역류시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운동성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 비특이적 목 통증을 가진 환자의 상부 흉추에 관절가동술과 자가관절운동을 적용 했을 때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선취득점 기술유형과 시간에 따른 라운드별 승패 탐색
- 체급별 종목 선수의 부위별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Interaction Effects of Obesity and Falls on Knee Strength and H/Q Ratio in Older Adults
- 운동프로그램이 한국 중년 및 노인 여성의 요통 지표와 골반 정렬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통합체육의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 마련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학교에서의 통합체육 관련 학술자료 및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 상황과 유형에 따른 대학야구 선수의 스포츠상해 조사
- 목 통증 치료의 질병 부담에 관한 예비연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분석
-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 라켓 종목별 유소년 선수의 신체조성, 체력 및 눈-손 협응력 비교 분석
- 지체장애인의 게이트볼 참여가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스포츠가치관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저강도 및 고강도 저항운동이 남성 노인의 신체구성,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Stress-Induced Gut Microbiota Dysbiosis and Brain Dysfunc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