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이용수  9

영문명
An Integrated Review of Current Status, Technological Trends, and Adverse Events for Development of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Assistive Devices
발행기관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저자명
문미르(Mi-R Moom)
간행물 정보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199~21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체육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하지 재활 운동 보조기구의 국내 품목 허가 현황과 관련 특허 기술을 분석하고, 향후 개발될 보조기구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유해사례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총 세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째,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 자료를 기반으로 정형용운동장치의 등록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평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관절운동, 근력강화운동, 체중부하운동, 보행훈련 보조기구로 분류한 후 각 기기의 특성과 장단점을 정리하였다. 둘째, KIPRIS와 WIPS ON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무릎’, ‘관절’, ‘재활’, ‘기구’ 등의 주제어로 검색한 특허·실용신안문 중 최종 238건을 선정하고 기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MAUDE(Manufacturer and User Facility Device Experien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관절 재활 관련 유해사례 총 170건을 조사하고, 주요 위해 요인, 상황 및 환자에게 발생한 문제를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상용화된 하지 재활 운동 보조기구는 설계 기전과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술적 특성을 가지며, 그에 따른 장점과 제한점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신체 기동성이 제한된 환자들이 가정에서도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량화되고 사용자 친화적인 하지 재활 운동 보조기구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기 개발에 있어 기술적·안전성 측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omestic product approval status and related patent technologies of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assistive devices and to analyze adverse events to inform the safe development of future devic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First, the registration status of orthopedic exercise devices was reviewed based on data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evices were categorized into joint movement, muscle strengthening, weight-bearing, and gait training assistive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guideline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benefits, and limitations of each device were summarized. Second, a total of 238 patent and utility model documents were selected using the keywords ‘knee’, ‘joint’, ‘rehabilitation’ and ‘device’ from the KIPRIS and WIPS ON databases. These were analyzed to identify current technological trends. Third, 170 adverse events related to joint rehabilitation devices were extracted from the Manufacturer and User Facility Device Experience (MAUDE) database of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nd categorized by risk factors, incident circumstances, and patient-reported proble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urrently commercialized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vary in design mechanisms and intended use, each presenting distinct advantages and limitations.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lightweight, user-friendly assistive devices that can be safely and independently used at home by patients with limited mobility.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to support the technological and safety consid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such rehabilitation de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미르(Mi-R Moom). (2025).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운동재활·복지, 6 (2), 199-213

MLA

문미르(Mi-R Moom).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운동재활·복지, 6.2(2025): 199-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