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n Motor Assessment in Parkinson's disease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박상수(Sang-Soo Park) 박미소(Mi-So Park) 김진우(Jin-woo Kim) 류호룡(Ho-Ryong Yoo)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61~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성 평가 기법에 대한 최근 동향을 고찰하고, 각 평가 방법의 주요 특징, 장단점, 활용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임상 척도인 UPDRS 및 Hoehn and Yahr 척도는 신뢰성은 높지만 평가자의 주관성 및 정량성 부족 등의 한계가 지적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 웨어러블 센서,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착용형 보조 기기, 새로운 생체 지표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들은 보다 정밀하고 연속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웨어러블 센서를 활용한 관성측정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기반 보행 분석과 진동 자극 장치는 실제 임상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AI 기술은 음성, 필기, 망막 영상, 유전체 데이터 등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조기 진단 및 중증도 예측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임상 적용을 위해서는 표준화, 사용자 편의성 확보, 윤리적·법적 문제 해결 등의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평가 기법들의 융합 가능성과 미래 지향적 활용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파킨슨병 환자에게 보다 정밀하고 맞춤화된 평가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recent trends in motor function assessment method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key features, advantages, limitation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each approach. Traditional clinical scales such as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and the Hoehn and Yahr scale are known for their clinical reliability but are constrained by restricted objectivity and limited sensitivity in detecting subtle motor change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echnologies such as wearable sensors, AI-based data analysis, assistive devices, and novel biomarkers have been actively explored, enabling more precise and continuous assessments. In particular, wearable devices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s (IMUs), gait analysis systems, and vibration stimulation tools have shown meaningful clinical outcomes. AI technologies have also contributed to early diagnosis and severity prediction by analyzing diverse unstructured data such as speech, handwriting, retinal images, and genomic information. However, challenges remain in clinical implementation, including standardization of protocols, patient usability, clinician adoption, and ethical and regulatory considerations. By outlining the integrative potential and clinical utility of emerging motor assessment technologie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precise, data-driven, and patient-tailored strategies for Parkinson’s disease man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파킨슨병 운동성 평가 방법의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재활·복지 제6권 제2호 목차
- [Editorial] ‘운동재활·복지’의 성취와 도전
-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남자 골프선수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비교분석
- 중국 대학생의 좌업생활과 신체활동 강도에 따른 체성분 및 수면의 질 관계: 등시간대체모형분석
- 하지정맥부전 환자에서 하지 정렬 유지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운동치료가 정맥 역류시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운동성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 비특이적 목 통증을 가진 환자의 상부 흉추에 관절가동술과 자가관절운동을 적용 했을 때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선취득점 기술유형과 시간에 따른 라운드별 승패 탐색
- 체급별 종목 선수의 부위별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Interaction Effects of Obesity and Falls on Knee Strength and H/Q Ratio in Older Adults
- 운동프로그램이 한국 중년 및 노인 여성의 요통 지표와 골반 정렬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통합체육의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 마련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학교에서의 통합체육 관련 학술자료 및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 상황과 유형에 따른 대학야구 선수의 스포츠상해 조사
- 목 통증 치료의 질병 부담에 관한 예비연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분석
-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 라켓 종목별 유소년 선수의 신체조성, 체력 및 눈-손 협응력 비교 분석
- 지체장애인의 게이트볼 참여가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스포츠가치관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저강도 및 고강도 저항운동이 남성 노인의 신체구성,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Stress-Induced Gut Microbiota Dysbiosis and Brain Dysfunc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