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Low-Intensity and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Elderly Men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이순국(Soon-Kook Lee) 박상서(Sang-Seo Park) 백성수(Seung-Soo Baek)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169~1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인은 근육량 감소와 체지방 증가로 인해 신체구성이 변화되며, 저항성 운동은 근육을 유지하고 체지방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노화로 인해 산화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세포 손상이 촉진되는데, 저항성 운동은 항산화 효소 활성화를 통해 이를 완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항성 운동은 노인의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고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방어력을 높여 건강한 노화를 촉진한다. 본 연구는 남성 고령자를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의 강도가 신체구성, 산화 스트레스 및 총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강도 저항성 운동이 산화 스트레스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체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통제집단(7명), 저강도 저항성 운동집단(9명), 고강도 저항성 운동집단(9명)으로 나뉘어 8주 동안 주 3회 운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 후 두 운동집단 모두에서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지방량은 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심폐지구력, 근기능, 유연성 등 체력 지표들도 두 운동집단에서 향상되었다. 산화 스트레스 지표인 MDA(Malondialdehyde)는 고강도 운동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고강도 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총 항산화 능력은 두 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고강도 저항성 운동이 일시적인 산화 스트레스(MDA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나, 동시에 항산화 방어체계(SOD 및 총 항산화 능력)를 강화하여 산화적 손상에 대한 생리적 적응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ging in older adults is characterized by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ncluding decreased muscle mass and increased body fat. Resistance exercise is effective in maintaining muscle mass and reducing body fat. Aging is also associated with elevated oxidative stress, which contributes to cellular damage; however, resistance training may alleviate this through the activation of antioxidant enzym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on body composition, oxidative stress,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 older men, and to determine whether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could continuously improve physical fitness despite being affected by oxidative stress. A total of 25 older men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n=7), a low-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 (n=9), and a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group (n=9). The intervention lasted for eight weeks with exercise sessions conducted three times per week. Following the intervention, both exercise groups showed a reduction in body weigh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Body fat mas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exercise groups, and improvements i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le function, and flexibility were also noted. Regarding oxidative stress markers, malondialdehyde (MDA)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the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a single bout of exercise. In contrast,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Total antioxidant capacity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both exercise groups. Therefore, resistance exercise improves physical function and enhances antioxidant defenses in older adults, ultimately promoting healthy aging. Although high-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temporarily increased oxidative stress, it simultaneously activated antioxidant defense systems, suggesting that it can lead to favorable physiological adaptations and sustained improvements in physical fitness in older 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재활·복지 제6권 제2호 목차
- [Editorial] ‘운동재활·복지’의 성취와 도전
-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남자 골프선수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비교분석
- 중국 대학생의 좌업생활과 신체활동 강도에 따른 체성분 및 수면의 질 관계: 등시간대체모형분석
- 하지정맥부전 환자에서 하지 정렬 유지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운동치료가 정맥 역류시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운동성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 비특이적 목 통증을 가진 환자의 상부 흉추에 관절가동술과 자가관절운동을 적용 했을 때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선취득점 기술유형과 시간에 따른 라운드별 승패 탐색
- 체급별 종목 선수의 부위별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Interaction Effects of Obesity and Falls on Knee Strength and H/Q Ratio in Older Adults
- 운동프로그램이 한국 중년 및 노인 여성의 요통 지표와 골반 정렬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통합체육의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 마련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학교에서의 통합체육 관련 학술자료 및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 상황과 유형에 따른 대학야구 선수의 스포츠상해 조사
- 목 통증 치료의 질병 부담에 관한 예비연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분석
-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 라켓 종목별 유소년 선수의 신체조성, 체력 및 눈-손 협응력 비교 분석
- 지체장애인의 게이트볼 참여가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스포츠가치관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저강도 및 고강도 저항운동이 남성 노인의 신체구성,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Stress-Induced Gut Microbiota Dysbiosis and Brain Dysfunc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