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8-Weeks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Dementia Related Factors in Elderly Women with Sarcopenic Obesity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변용현(Yong-Hyun Byun)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6권 제3호, 13~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근감소성 비만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 근력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 구성 성분, 근력 및치매 관련 인자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근감소성 비만 개선과 치매 예방을 위한 운동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근 감소증과 비만 기준을 충족하는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n=22명)으로 무작위 배정을 통해 근력운동집단(n=11)과 통제집단(n=11)으로 배치한 후, 8주간의 웨이트 머신을 사용한 근력 운동 전과 후에 신체구성, 근력및 혈중 치매 관련 요인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에서 유의한 감소가확인되었으며, 근력 요인은 악력, 엉덩관절 굽힘근, 무릎관절 굽힘 및 폄근, 팔굽관절 굽힘근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치매 관련 요인인 BDNF와 HDL 수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근력 운동은 신경 영양 인자 및 지질대사 개선 및 근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및 치매 예방에 좋은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음을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ercise on improving sarcopenic obesity and preventing dementia by analyzing changes i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dementia-related factors after an 8-week resistance training program in sarcopenic obese elderly women. A total of 22 elderly women aged 65 years or older who met the criteria for sarcopenia and obes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esistance training group(n=11) and a control group(n=11), and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blood dementia-related factor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8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using a weight machine.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weight,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grip strength, hip flexors, knee flexors and extensors, and elbow flexors. BDNF and HDL level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resistance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neurotrophic factors, lipid metabolism, and muscle strength, suggesting that it may be a good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sarcopenic obesity and dementia in elderly women.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강도인터벌트레이닝(HIIT) 참여 여성들의 운동지속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8주간의 근력 운동이 근감소성 비만 여성 노인의 신체 구성 성분, 근력 및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 노르딕워킹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플로리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델파이(Delphi)와 계층구조분석(AHP)을 적용한 독립야구단의 발전방안
- 태권도 격파지도자의 전문성에 관한 질적연구
- 축구선수의 셀프리더십이 선수생할만족과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e스포츠 연구 지형도: 20년(2004-2024) 동향과 변화 분석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3호 목차
- 8주간의 필라테스 순환운동이 중년 비만 여성의 근기능과 심폐체력, 체간상부 정렬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의 AI 도입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직 혁신과 저항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여가 활동 참여에서의 디지털 서비스 이용 경험에 대한 인식: 기대일치, 유용성, 만족도를 중심으로
- 강도에 따른 8주 유산소 운동이 주의혈압 단계 중년 남성의 혈압 및 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의 CSR,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고객 충성도 간의 관계
- 해양 여가활동 비치코밍의 운동가치인식과 자아효능감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 스포츠 선수 에반젤리즘, 외로움, 세대가 골프용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MZ세대를 중심으로
- 중국 프로농구리그의 체험마케팅 요소, 서비스품질 및 관중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 발달장애인의 스포츠기본권 및 우선적 가치에 관한 주관성 유형화
- 고령인구 대상 저산소 운동이 대사성 질환 지표에 미치는 효과
-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의 접근목표와 운동만족 및 재등록의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 국내 수중심리운동의 연구 동향 및 미래 방향성 탐색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고강도인터벌트레이닝(HIIT) 참여 여성들의 운동지속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8주간의 근력 운동이 근감소성 비만 여성 노인의 신체 구성 성분, 근력 및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 노르딕워킹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플로리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