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Eye-Hand Coordination of Youth players by Racket sport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박민혁(MIn-Hyuk Park) 김나경(Na-Kyoung Kim) 김종근(Jong-Geun Kim)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13~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테니스, 배드민턴, 탁구 종목에 참여하는 유소년 남자 선수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 체력, 눈-손 협응력의 종목별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D광역시에 소속된 경력 2년 이상의 유소년 선수 총 49명(테니스 15명, 배드민턴 20명, 탁구 14명)을 대상으로 체성분 분석 측정, 체력 및 협응력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BMI와 체지방율은 종목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테니스 선수들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체력 항목에서는 윗몸일으키기(근지구력), 사이드스텝(민첩성), 체전굴(유연성)에서 테니스 선수들이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반면, 근력, 반응속도, 눈-손 협응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소년기 체력 요소가 종목 특성과 성장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함을 시사하며, 조기 민첩성, 유연성 개발과 사춘기 이후 근력 강화 중심의 체계적 훈련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장기적 선수 발달 모델(LTAD) 관점에서 종목별 맞춤형 트레이닝 설계와 부상 예방 전략 수립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hand-eye coordination among male youth athletes participating in tennis, badminton, and table tennis. A total of 49 male youth athletes from D Metropolitan City, each with over two years of experience (tennis: n = 15, badminton: n = 20, table tennis: n = 14), were assessed using InBody analysis, physical fitness tests, and coordination evaluations. A one-way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Scheffé’s post-hoc test was conducted for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and body fat percentage, with tennis players exhibiting the lowest values. Regarding physical fitn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it-ups (muscular endurance), side-steps (agility), and sit and reach test(flexibility), with tennis players demonstrating superior performan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rip strength, reaction time, or hand-eye coordin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hysical development in youth athletes varies depending on the sport-specific demands and developmental stage. Early training that focuses on agility and flexibility, followed by strength development after puberty, is recommended.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nsights for designing sport-specific training programs and injury prevention strategies aligned with the Long-Term Athlete Development (LTAD) mod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재활·복지 제6권 제2호 목차
- [Editorial] ‘운동재활·복지’의 성취와 도전
-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남자 골프선수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비교분석
- 중국 대학생의 좌업생활과 신체활동 강도에 따른 체성분 및 수면의 질 관계: 등시간대체모형분석
- 하지정맥부전 환자에서 하지 정렬 유지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운동치료가 정맥 역류시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운동성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 비특이적 목 통증을 가진 환자의 상부 흉추에 관절가동술과 자가관절운동을 적용 했을 때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선취득점 기술유형과 시간에 따른 라운드별 승패 탐색
- 체급별 종목 선수의 부위별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Interaction Effects of Obesity and Falls on Knee Strength and H/Q Ratio in Older Adults
- 운동프로그램이 한국 중년 및 노인 여성의 요통 지표와 골반 정렬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통합체육의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 마련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학교에서의 통합체육 관련 학술자료 및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 상황과 유형에 따른 대학야구 선수의 스포츠상해 조사
- 목 통증 치료의 질병 부담에 관한 예비연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분석
-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 라켓 종목별 유소년 선수의 신체조성, 체력 및 눈-손 협응력 비교 분석
- 지체장애인의 게이트볼 참여가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스포츠가치관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저강도 및 고강도 저항운동이 남성 노인의 신체구성,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Stress-Induced Gut Microbiota Dysbiosis and Brain Dysfunc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