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Sports Injuries in Collegiate Baseball Athletes Based on Occurrence Situations and Injury Types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김정우(Jung-Woo Kim) 정혁(Hyuk Chung)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135~14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학야구 선수가 1년 동안 경험한 상해 현황을 파악하여 예방을 위한 대책수립과 적용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을 위해 네 개의 항목(배경정보, 개인훈련, 팀훈련, 경기출전)과 3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 등록된 31개 대학팀 중 설문조사에 협조한 팀은 26개였으며, 모집단인 대학야구 선수 1,094명 중 69.2%에 해당하는 757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응답자의 평균 연령은 20.1세(SD=1.46)였으며 평균 선수경력은 120.2개월(SD=29.71)이었다. 연구 결과, 한 해 동안 상해를 한 번 이상 경험한 선수는 315명으로 응답자의 41.6% 수준이었다. 상해를 경험한 선수들을 상황별로 분류하면, 개인훈련 중 78명(24.8%), 팀훈련 중 241명(76.5%), 경기 중 60명(19.0%)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각 상황별 상해부위, 상해유발 동작, 상해원인 인식 등의 정보를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상황에서 손, 팔꿈치, 어깨 부위의 상해가 두드러졌으며, 하체보다는 상체의 부상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훈련에서는 타격훈련 중 스윙, 팀훈련에서는 투구, 경기에서는 슬라이딩이 상해를 유발하는 주요 동작으로 파악되었다. 선수들이 인식하는 상해유발 원인도 상황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상해유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인훈련 시 선수가 운동을 시작하기에 앞서 수행하려는 동작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며, 팀훈련에서는 과사용과 과훈련이 되지 않도록 훈련 프로그램을 전반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한 빈도만으로 어느 상황에서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비교, 판단하는 것은 제한이 따른다. 차후 선수들이 특정 상황에 노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상해가 발생한 비율을 제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injuries sustained by baseball players during the previous year an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preventive plan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demographic information, individual training, team training, and game participation) and 34 items. Among 31 college teams registered in the Korea Baseball Softball Association, twenty-six college tea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757 athlet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20.1 years (SD=1.46) and the playing experience was 120.2 months (SD=29.71). According to the results, 315 players (41.6%) experienced injuries at least once. When classifying the injured athletes by situation, 78 (24.8%) were injured during individual training, 241 (76.5%) during team training, and 60 (19.0%) during games.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information such as the injured body part, injury-causing movement, and perceived injury cause for each situation. In all situations, injuries to the hand, elbow, and shoulder were prominent, and the frequency of injuries to the upper body was higher than to the lower body. In individual training, swinging during batting training, pitching in team training, and sliding in game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movements causing injuries. The causes of injuries perceived by the athletes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reducing the probability of injuries, athletes are supposed to understand the movement they are trying before performing them,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afety concerns of training programs and its intensity for in team training to prevent overuse and over-training. There may be limitations to compare the possibility of injury-occurrence in a specific situation based only on the frequency presented in the result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providing the incidence rate of injury based on the athlete’s exposure-time in a specific sit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재활·복지 제6권 제2호 목차
- [Editorial] ‘운동재활·복지’의 성취와 도전
-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남자 골프선수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비교분석
- 중국 대학생의 좌업생활과 신체활동 강도에 따른 체성분 및 수면의 질 관계: 등시간대체모형분석
- 하지정맥부전 환자에서 하지 정렬 유지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운동치료가 정맥 역류시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운동성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 비특이적 목 통증을 가진 환자의 상부 흉추에 관절가동술과 자가관절운동을 적용 했을 때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선취득점 기술유형과 시간에 따른 라운드별 승패 탐색
- 체급별 종목 선수의 부위별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Interaction Effects of Obesity and Falls on Knee Strength and H/Q Ratio in Older Adults
- 운동프로그램이 한국 중년 및 노인 여성의 요통 지표와 골반 정렬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통합체육의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 마련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학교에서의 통합체육 관련 학술자료 및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 상황과 유형에 따른 대학야구 선수의 스포츠상해 조사
- 목 통증 치료의 질병 부담에 관한 예비연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분석
-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 라켓 종목별 유소년 선수의 신체조성, 체력 및 눈-손 협응력 비교 분석
- 지체장애인의 게이트볼 참여가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스포츠가치관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저강도 및 고강도 저항운동이 남성 노인의 신체구성,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Stress-Induced Gut Microbiota Dysbiosis and Brain Dysfunc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