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Sleep Quality Based on Seden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 Isotemporal Substitu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호운상(Yun-Xiang Hu) 윤석민(Seok-Min Yun)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2호, 123~1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좌업생활(Sedentary behavior, SB)과 다양한 강도의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PA)이 중국 대학생의 체성분과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중국 정저우 대학교(鄭州大學) 체육학과 전공 학생 7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속도계(ActiGraph GT3X+)를 통해 좌업생활(SB) 및 신체활동(PA) 시간을 측정하였고, InBody230을 사용하여 체성분(체질량지수, 체지방, 체지방률) 측정 및 수면 설문지를 통해 수면의 질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IBM SPSS 2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등시간대체모형(Isotemporal substitution model, ISM)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일 30분 동안 중·고강도 신체활동(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MVPA)이 좌업생활(SB)을 대체하면, 대학생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0.124kg/m² 감소하였으며, 체지방은 0.217kg 감소 하였고 체지방률은 0.2% 낮아졌다. 둘째, 매일 30분 동안 중·고강도 신체활동이 저강도 신체활동(light physical activity, LPA)을 대체하면, 대학생의 BMI는 0.092kg/m² 감소하였으며, 체지방은 0.197kg 감소하였다. 셋째, 매일 30분 동안 저강도 신체활동(LPA)이 좌업생활을 대체하면, 대학생의 BMI는 0.032kg/m² 감소하였으며, 체지방은 0.02kg 감소하였고 체지방률은 0.1% 낮아졌다. 넷째, 매일 30분 동안 중·고강도 신체활동이 좌업생활을 대체하면, 대학생의 수면의 질이 높아질 확률이 15.4% 증가하였다. 다섯째, 매일 30분 동안 중·고강도 신체활동이 저강도 신체활동을 대체할 경우, 수면의 질은 13.1% 증가하였다. 따라서 중·고강도 신체활동은 저강도 신체활동 보다 비만 지표 감소 및 체성분 개선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매일 30분 동안 중·고강도 신체활동을 지속하는 것은 비현실적일 수 있으며, 특히 운동을 수행할 수 없거나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 저강도 신체활동을 권장하는 것이 건강 개선을 위한 더 실용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reallocating sedentary time to physical activity of varying intensities affects body composition and sleep quality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using an isotemporal substitution model. A total of 77 undergraduate physical education students from Zhengzhou University were recruited. Body composition metrics (BMI, body fat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were assessed using the InBody230, while sedentary behavior (SB)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measured with an ActiGraph GT3X+ accelerometer worn for seven consecutive days. Sleep quality was evaluat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6.0,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and isotemporal substitution modeling to examine behavioral reallo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medium-to-high intensity physical activity(MVPA) replaced SB for 30 minutes per day, college students' BMI decreased by 0.124kg/m², body fat decreased by 0.217kg, and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by 0.2%. Second, when MVPA replaced LPA for 30 minutes per day, college students' BMI decreased by 0.092kg/m² and body fat decreased by 0.197kg. Third, when LPA replaced SB for 30 minutes a day, the BMI of college students decreased by 0.032kg/m², body fat decreased by 0.02kg, and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by 0.1%. Fourth, if 30 minutes of MVPA replaces SB every day, the probability of college students' sleep quality improving will increase by 15.4%. Fifth, when 30 minutes of MVPA replaces LPA every day, the probability of improving sleep quality increases by 13.1%. verall, MVPA demonstrated a more pronounced effect on improving adiposity indicators and sleep quality than LPA. However, given the potential impracticality of sustaining daily MVPA for many individuals, particularly those with low motivation or physical limitations, LPA may serve as a more accessible and sustainable strategy for promoting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재활·복지 제6권 제2호 목차
- [Editorial] ‘운동재활·복지’의 성취와 도전
-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남자 골프선수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비교분석
- 중국 대학생의 좌업생활과 신체활동 강도에 따른 체성분 및 수면의 질 관계: 등시간대체모형분석
- 하지정맥부전 환자에서 하지 정렬 유지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운동치료가 정맥 역류시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운동성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 비특이적 목 통증을 가진 환자의 상부 흉추에 관절가동술과 자가관절운동을 적용 했을 때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태권도 겨루기 경기의 선취득점 기술유형과 시간에 따른 라운드별 승패 탐색
- 체급별 종목 선수의 부위별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Interaction Effects of Obesity and Falls on Knee Strength and H/Q Ratio in Older Adults
- 운동프로그램이 한국 중년 및 노인 여성의 요통 지표와 골반 정렬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통합체육의 협력적 거버넌스 기반 마련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학교에서의 통합체육 관련 학술자료 및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 상황과 유형에 따른 대학야구 선수의 스포츠상해 조사
- 목 통증 치료의 질병 부담에 관한 예비연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분석
- 하지관절 재활 운동 보조기구 개발을 위한 현황, 기술 동향 및 유해사례 통합 고찰
- 라켓 종목별 유소년 선수의 신체조성, 체력 및 눈-손 협응력 비교 분석
- 지체장애인의 게이트볼 참여가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스포츠가치관이 사회적 관계망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저강도 및 고강도 저항운동이 남성 노인의 신체구성,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Stress-Induced Gut Microbiota Dysbiosis and Brain Dysfunc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