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이용수  26

영문명
Psychological Health and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lief Model
발행기관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저자명
왕진진(Jin-Jin Wang) 윤석민(Seok-Min Yun)
간행물 정보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1호, 56~68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체육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 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을 기반으로 중국 대학생들이 심리건강 및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신념 요인을 분석하였다. 중국 안후이성과 후베이성에 위치한 6개 대학[(안후이대학교(安徽大學), 안후이 농업대학교(安徽農業大學), 푸양사범대학교(阜陽師範大學), 우한대학교(武漢大學), 화중과학 기술대학교(華中科技大學), 후베이문리학원(湖北⽂理學院)]의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92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는 HBM 구조에 따라 경로모델 및 구조방정식모델을 분석하여 건강신념 요인과 신체활동 참여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된 취약성과 인지된 심각성은 건강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인지된 효과, 인지된 장애물,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건강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HBM 모형은 건강행동 예측에 유의미한 결과를 제공하였으나, 해석력이 제한적(��²=.165, �� ²=.126)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HBM 모형의 종합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문화적 요인 등 추가적인 외부 요인을 포함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심리건강 및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건강신념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며, 건강행동 중재 방안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ealth belief factors influenci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as well as their actual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302 college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in Anhui and Hubei provinces, China (Anhui University, Anhui Agricultural University, Fuyang Normal University, Wuhan University,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ubei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A total of 292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employed path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HBM framework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belief factors and in physical activity. The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health behavior. In contrast,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health behavior. While the HBM model demonstrate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for health behavior, its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be limited (��²=.165, ��²=.126).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additional external factors such as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to enhanc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HBM.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promoting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ollege students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signing health behavior interven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진진(Jin-Jin Wang),윤석민(Seok-Min Yun). (2025).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운동재활·복지, 6 (1), 56-68

MLA

왕진진(Jin-Jin Wang),윤석민(Seok-Min Yun).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운동재활·복지, 6.1(2025): 56-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