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national Relations and Migrants of Goguryeo in the late 4th~early 5th Century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저자명
- 장창은(Chang-eun Jang)
- 간행물 정보
- 『북악사론』제22집, 279~31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4세기 말~5세기 초 고구려의 국제관계와 이주민 동향을 검토하였다. 385년 4월 유주와 기주에 기근이 들자 유민들이 고구려로 이주하였다. 고국양왕은 4만의 군사로 습격해 요동·현도군을 장악하고 남녀 1만 명을 생포해 왔다. 다만 후연 모용농에게 얼마 되지 않아 다시 빼앗겼다. 후연왕 모용수는 평주자사에게 평곽을 지키게 했고, 요동태수도 임명하였다. 후연이 요동지역 지배에 나섰다. 고구려와 후연 간 각축전의 이면에는 군사와 노동자원으로서의 인력 확보가 내재되어 있었다.
모용보는 광개토왕을 ‘평주목·봉요동·대방이국왕’으로 책봉하였다. 이는 요하 동쪽 방면에서 고구려의 우위를 공인한 것이었다. 후연은 397년 용성으로 천도한 후 내부 혼란에 빠졌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어 인구가 감소하였다. 후연이 고구려 이주민을 확보하려 했던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400년 모용성은 3만 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하였다. 그 결과 신성과 남소성을 함락해 700리를 개척했고, 고구려민 5,000호를 요서로 이주시켰다. 모용성은 고구려 원정으로 내부 위기의 국면을 전환하고 요서에서 이탈한 백성을 보충하려 했다. 모용희가 각종 토목공사를 벌이며 국력을 탕진하자 고구려가 반격하였다. 광개토왕은 402년에 숙군성, 404년에 연군까지 장악하였다. 고구려는 402~404년의 대후연 작전에서 요서로 진출하였다. 그리고 402년 이후 요동지역의 거점성을 매개로 이 지역을 지배하였다.
395년 광개토왕이 거란을 정벌해 남녀 500명을 사로잡았고, 378년에 빼앗겼던 고구려민 1만 명을 데리고 돌아왔다. 당시 거란은 시라무렌하 유역에 거처해 있었다. 광개토왕이 거란 원정의 결과 얻은 성과는 거란민 500명과 기존에 잡혀간 고구려민 1만 명, 소·말·양이었다. 거란의 남녀 500명은 말과 양 떼를 거란에서 고구려까지 운반하는 역할을 맡았다. 고구려로 이주한 후에는 기병으로 양성하거나 각종 노역에 활용되었다. 395년 광개토왕의 거란 원정은 무순·심양에서 출발하였다. 요하를 건너 신민-부신에서 의무려산과 노로아호산맥을 넘어 서북진하면 노합하~시라무렌하 유역이다. 돌아올 때는 의무려산에서 요양까지 연결되는 ‘양평도’를 이용하였다. 이곳에서 역성·북풍을 따라 서남진하면서 순수하였다. 광개토왕이 양평도와 요동을 ‘遊觀土境’했다는 것은 이 일대가 고구려의 영유하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광개토왕은 398년 군대를 보내 숙신의 땅을 살피게 했고, 남녀 300명을 잡아 왔다. 숙신은 장광재령 동쪽 목단강 유역에 있었다. 광개토왕은 연이은 원정과 군사 파견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군사력과 노동력 확보라는 측면에서 다수의 이주민을 확보한 의미가 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migrant trends in Goguryeo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In April 385, when famine broke out in Yuju and Giju, the refugees moved to Goguryeo. King Gogukyang sent 40,000 soldiers to attack Liaodong(遼東), took control of Liaodong and Hyundo Commandery, and captured 10,000 men and women alive. However, it was taken back by Morong-nong(慕容農) of Later Yan(後燕) shortly after. Morong-soo(慕容垂), the king of Later Yan, had Pyeongju jasa keep Pyungkwak(平郭), and Liaodong Taesu was also appointed. Later Yan took control of the Liaodong area. Behind the battle between Goguryeo and Later Yan, securing manpower as a military and labor resource was inherent.
Morong-boo(慕容寶) established a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with King Gwanggaeto(r.391~412). This recognized Goguryeo’s superiority in the eastern side of Yoha(遼河). Later Yan fell into internal chaos after passing away to Yongseong(龍城) in 397. In the process, many people died and the population declined sharply. It was for this reason that Later Yan tried to secure migrants from Goguryeo. In 400 years, Morong-sung(慕容盛) invaded Goguryeo with 30,000 troops. As a result, Sin Fortress and Namso Fortress were captured and the territory was pioneered, and 5,000 Goguryeo people were relocated to Liaoseo(遼西). Morong-sung tried to turn the tide of internal crisis with the war against Goguryeo and make up for the people who broke away from Liaoseo. Goguryeo fought back when Morong-sung(慕容熙) wasted her national power by carrying out various civil engineering projects. King Gwanggaeto took control of Sukgun castle(宿軍城) in 402 and Yeongun(燕郡) in 404. Goguryeo advanced deep into Liaoseo in its 402-404 campaign against Later Yan.
In 395, King Gwanggaeto conquered the Qitan(契丹) and captured 500 men and women, and returned with 10,000 Goguryeo people who were taken away in 378. At that time, the Qitan lived in the Shiramuren River basin. The results obtained by King Gwanggaeto as a result of the Qitan expedition were 500 Qitan people, 10,000 Goguryeo people who were previously captured, and cattle, horses, and sheep. The 500 men and women of the Qitan were responsible for transporting horses and sheep from Qitan to Goguryeo. After moving to Goguryeo, they were trained as cavalry or used for various labor.
In 395, King Gwanggaeto’s Qitan expedition started from Musun and Simyang. Crossing Yoha, crossing the Uimryo Mountain and Norohaho Mountains, and going northwest, it is the basin of the Rohab River and Shiramuren River. When returning, used ‘Yangpyeong road(襄平道)’, which connects from Uimryo Mountain to Liaoyang. Here, he patrolled by advancing southwest along Yeokseong Castle and the Bukpung(北豐). King Gwanggaeto sent an army in 398 to inspect the land of Sushen(肅愼) and captured 300 men and women. King Gwanggaeto achieved great results through successive expeditions and military dispatch. In particular, it was significant to secure a large number of migrants in terms of securing military and labor.
목차
Ⅰ. 머리말
Ⅱ. 高句麗・後燕의 각축과 이주민
Ⅲ. 廣開土王의 契丹・肅愼 원정과 그 성과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