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후 한국광복군의 국군 참여와 활동

이용수  0

영문명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after Liberation
발행기관
북악사학회
저자명
김용달(Yong-dal Kim)
간행물 정보
『북악사론』제22집, 393~43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광복군은 투철한 역사의식과 남다른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하나는 한말 민군으로 일어난 의병정신과 대한제국 관군으로 의병전쟁에 참전한 해산군인의 군인정신을 계승한다는 역사의식이 강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만주 독립군의 항일 무장투쟁의 경험을 중시하고, 국민주권주의에 입각해 민주공화제로 성립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군이라는 긍지와 자부심이 강했다는 점이다. 광복군 출신들은 이 같은 역사의식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해방된 조국의 군대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졌다. 하지만 해방된 조국의 현실은 이들의 생각과는 달랐다. 미국과 소련이 38도선을 경계로 남북한을 분할 점령한 뒤 각기 군정을 실시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은 ‘현상유지정책’을 펴면서 ‘미군정 유일정부론’을 공포하여 임시정부와 광복군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광복군은 1946년 5월 이후에야 개인자격으로 환국할 수 있었다. 더구나 광복군이 환국할 즈음에는 미 군정청을 중심으로 창군작업이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 그래서 광복군 출신들은 미 군정청 주도의 창군작업 참여에 주저하거나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위기를 전환하는 계기가 생겼다. 하나는 광복군 참모총장 출신의 유동열이 미 군정청 국방부장인 통위부장에 취임하고, 이어 광복군총사령부 고급참모 출신 송호성이 조선경비대총사령관에 임명된 것이다. 이를 계기로 광복군 출신의 창군작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조선경비사관학교에 광복군 출신 29명이 잇달아 입교하여 군사간부로 진출한 것이다. 이들은 조선경비대 각 여단의 일선 지휘관으로 활동하면서 미 군정시기 창군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특히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국군이 정식으로 발족하고, 광복군 제2지대장 출신 이범석과 광복군총사령부 총무처장 출신 최용덕이 초대 국방부 장관과 차관에 취임하면서 광복군 출신의 국군 참여는 눈부시게 늘어났다. 연달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거나 여러 경로를 통해 70여 명의 광복군 출신들이 국군 간부로 대거 임관하게 된 것이다. 이들은 육군은 물론 해군과 공군의 창설과정에서도 주역으로 활동하였다. 광복군 출신들은 창군 초기에는 각 사단장과 수도경비사령관 등 사단급 일선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특히 육군사관학교를 비롯한 각 군 사관학교와 군사교육기관의 책임을 맡아 군사간부와 정병을 육성하고 민족정통성을 정립하는데 앞장섰다. 6.25전쟁에도 참전하여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고, 인천상륙작전 성공 이후 북진에 앞장서거나 중공군 개입 이후에는 후퇴작전에도 참가하며 적지 않은 희생도 치렀다. 광복군 출신들은 이와 같이 주체적인 국군 창설과 정병 육성은 물론, 6.25전쟁에 참전하여 조국을 수호하는 데 앞장섰다. 민족독립과 조국광복을 위해 싸웠던 광복군의 독립정신이 광복 후 국가수호의 호국정신으로 발현된 것이다. 이는 국군에 참여한 103명의 광복군 출신자 가운데 101명이 대통령장을 비롯하여 독립장·애국장·애족장 등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사실에서도 잘 드러난다. 대한민국 국군 창군시기 광복군이 견지한 민족군사의 전통을 잇고 있다는 역사의식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군이라는 긍지와 자부심이 빛을 발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Korean Liberation Army had a strong sense of history and extraordinary pride. One was that it had a strong sense of history to inherit the spirit of the righteous army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spirit of the military of the disbanded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war. The other was that it valued the experiences of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of the independence forces in Manchuria and had strong pride and pride as a military for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as a democratic republic based on national sovereignty. Based on this sense of history and pride, the former members of the Liberation Army had a sense of mission to be the center of the liberated homeland. However, the reality of their liberated homeland was different from what they thought. This is because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divided and occupied the two Koreas along the 38th parallel and implemented military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promulgated the 'unitary government theor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le implementing the 'state of status quo policy' and did not recognize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Liberation Army. For this reason, the Liberation Army was only able to return to its individual status after May 1946. Moreover, by the time the Liberation Army returned to Korea,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already started the founding work. As a result, members of the Liberation Army either hesitated or showed a lukewarm attitude to participate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led founding work. There w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is atmosphere. First, Yoo Dong-yeol, a former chief of staff of the Liberation Army,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s defense department, followed by Song Ho-sung, a former senior staff member of the Liberation Army Command, as the commander of the Chosun Guard. This led to the particip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rmy from the Korean Liberation Army. Twenty-nine people from the Korean Liberation Army entered the Joseon Security Academy one after another and entered the military department. They served as front-line commanders of each brigade of the Joseon Guard and became involved in the founding of the US military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particular, in August 1948,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the Armed Forces were officially launched, and Lee Beom- seok, a former commander of the 2nd Distric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and Choi Yong-deok, a former general affairs minister of the General Command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were inaugurated as the first defense minister and vice minister. More than 70 former members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were appointed to the Korea Military Academy one after another or through various channels. They played key roles in the creation of the Navy and Air Force as well as the Army.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the army, former members of the Liberation Army were appointed and active as front-line commanders at the division level, including the commander of each division and the commander of the Capital Security Command. In particular, he was in charge of each military academy and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 including the Korea Military Academy, and took the lead in fostering military officials and military personnel and establishing national legitimacy. He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nd prevented the North Korean army from moving south, took the lead in the North Korean advance after the successful Incheon Landing Operation, and participated in retreat operations after the Chinese military intervention, making considerable sacrifices.

목차

Ⅰ. 머리말
Ⅱ. 근대 민족군사의 맥락
Ⅲ. 광복군 출신의 창군과정 참여
Ⅳ. 광복군 출신의 국군 참여와 활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달(Yong-dal Kim). (2025).해방 후 한국광복군의 국군 참여와 활동. 북악사론, (), 393-433

MLA

김용달(Yong-dal Kim). "해방 후 한국광복군의 국군 참여와 활동." 북악사론, (2025): 393-4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