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학농민군의 일본·청국 인식과 지향

이용수  0

영문명
Donghak Peasant Army's Awareness and Orientation toward Japan and the Qing Dynasty
발행기관
북악사학회
저자명
조재곤(Jae-gon Cho)
간행물 정보
『북악사론』제22집, 353~39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분수령인 동학농민전쟁의 체계적 이해를 위해서는 투쟁의 전 과정에서 보인 이들의 외세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청국과 일본이라는 이웃 강국의 외교 간섭과 군사개입은 결국 조선 사회 내부의 응축된 변혁 이데올로기와 운동의 동력을 제약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동학농민전쟁을 전후로 한 시기 동학 교단과 농민군들의 외세 인식과 그와 관련한 활동에 관한 것이다. 동학사상이 발흥하고 이후 확대되면서 동학농민전쟁 이전까지 ‘척왜양(斥倭洋)’을 견지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군 활동 시기에 이르면 ‘척양(斥洋)’의 이슈는 줄어들고 대상이 일본과 청국으로 좁혀지면서 지역과 주도층의 차이에 따라 인식과 지향점에서도 큰 차이가 있었다. 그러한 내용을 전라도 남접 농민군 지도부의 ‘충군애국지심’의 반일 의병 규합, 충청도를 중심으로 한 북접 교단지도부의 흥선대원군 세력과 제휴한 일본군 축출, 늦게 시작한 황해도 농민군의 청국과 연대한 왕조전복과 신정부 구상으로 개념화하고 각각의 지향과 역사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Donghak Peasant War, which is an important watershed in Korean modern history, it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to grasp their perception and response to foreign powers shown throughout the struggle. This is because the diplomatic interference and military intervention of the neighboring powers of the Qing Dynasty and Japan were the most decisive factors limiting the condensed transformation ideology and movement power within Joseon society. This study is about the foreign power percep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and related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before and after the Donghak Peasant War. As Donghak's ideology emerged and expanded afterwards, it was confirmed that it maintained the exclusion of the West and Japan until the Donghak Peasant War. As the issue of “Western exclusion” decreased and the target was narrowed down to Japan and China,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 and the leadership. Such contents were conceptualized as the gathering of anti-Japanese volunteer soldiers of the Jeolla-do Peasant Army, the expulsion of Japanese troops of the leadership of the denomination centered on Chungcheong-do, the new government initiative of the Hwanghae-do Peasant Army, which started late,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each were analyzed.

목차

Ⅰ. 머리말
Ⅱ. 동학농민전쟁 이전 : 임진왜란의 소환과 ‘척왜양’ 견지
Ⅲ. 남접 농민군 : ‘충군애국지심’의 반일 의병 규합
Ⅳ. 북접 교단지도부 : 대원군 세력과 제휴한 일본군 축출
Ⅴ. 황해도 농민군 : 청국과 연대한 왕조전복 구상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곤(Jae-gon Cho). (2025).동학농민군의 일본·청국 인식과 지향. 북악사론, (), 353-391

MLA

조재곤(Jae-gon Cho). "동학농민군의 일본·청국 인식과 지향." 북악사론, (2025): 353-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