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orkers and Stonemason in Stone Fortress Construction of the Silla based on Pre-Modern Fortress Building Documents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저자명
- 이미란(Mi-ran Lee)
- 간행물 정보
- 『북악사론』제22집, 161~20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전근대 축성자료에 보이는 石城의 구조와 축성 프로세스의 보편적 속성을 통해 신라의 문헌사료와 축성 금석문에 나타난 역부와 석공의 산정과 동원,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선 태조대와 세종대의 한양도성, 선조대의 금오산성, 영조대의 전주성 등의 축성자료를 통해, 축성 절차와 공정의 특징과 역부 산정 방식, 공사시기에 따른 역부 동원 문제, 석공의 수와 동원 시기가 전체 축성 운영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신라에서도 지방의 축성은 중앙정부의 명령 또는 허가가 선행되었고, 비관할지역에 대한 역부 징발권은 지역범위와 인원을 제한받았으며, 공사 규모에 따라 필요한 역부의 수를 산정하거나 조율해서 공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산신성비>에 기재된 石工은 성벽에 사용된 성돌을 가공했다. 남산신성을 축조할 때 공역조직마다 석공을 일정하게 배치하여, 공사 현장에서 축성 기술을 균일하게 구사하려 시도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thod and role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workers and stonemasons in Silla's literature sources and the fortress building epigraph through pre-modern fortress building documents. Reviewing fortress construction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calculation of the st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ruction procedure and process, the mobilization of the Workers and Stonemas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impact of the number and mobilization period on the overall construction operation of the building were examined.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even in Silla, local construction was preceded by orders or permissio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right to requisition for non-jurisdictional areas was limited in regional scope and number of workers, and the number of workers needed was coordin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The stonemasons listed in “Namsanshinseong Epigraph” trimmed the stones used in the walls. It can be seen that an attempt was made to uniformly utilize building technology by uniformly arranging stonemasons for each construction organization when constructing Namsanshinseong.
목차
Ⅰ. 머리말
Ⅱ. 축성의 기획에서의 역부의 징발 범위와 산정
Ⅲ. 축성에서 석공의 편성과 역할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