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nstructing the Japan-Silla Sea Route through the Man'yōshū Envoy Songs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저자명
- 최희준(Hee-joon Choi)
- 간행물 정보
- 『북악사론』제22집, 319~35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萬葉集』 권15에 수록된 ‘遣新羅使人歌’를 분석하여 736년 당시 일본 사신단의 실제 사행 항로를 복원하였다. 총 145수의 견신라사인가는 출항부터 귀국까지의 여정을 시공간의 순서에 따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구체적인 정박지와 항로의 구성, 항해 조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사신단은 오사카만의 難波津에서 출항해, 세토내해를 따라 明石浦-玉浦-風速浦-能毛浦 등 여러 항구에 정박하였고, 佐婆의 앞바다에서 역풍을 만나 표류하다 分間浦에 임시 정박한 후 筑紫館에 도착하였다. 이후 韓亭-引津亭-狛嶋亭를 거쳐 현해탄을 건너 壹岐島에 차례로 정박하였고, 對馬島의 아소만 내 浅茅浦-竹敷浦를 경유해 대한해협 서수로를 건너 거제 남부에 도달한 후, 신라 菁州의 외항이었던 사천 지역 포구로 입항하였다. 이처럼 문학자료를 통해 고대 동아시아 사행 항로의 구체적 경로와 환경 대응 양상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데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sea route taken by the Japanese diplomatic mission dispatched to Silla in 736, based on the Kenshirashi no Uta (“Poems of the Envoys to Silla”) included in Book 15 of the Man’yōshū, Japan’s oldest extant poetry anthology. The mission, headed by Abe no Asomikimaro, left from Naniwatsu (modern Osaka), and the 145 poems composed during the journey offer critical insights into the actual stages of the envoy’s travel. The poems are chronologically arranged and reflect the changing geographical and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participants. Based on textual analysis, the route begins at Naniwatsu, proceeding through ports along the Seto Inland Sea including Akashiura, Tamaura, Fusokura, and Nomoura, before arriving at Tsukushikan near Fukuoka. From there, the envoys crossed the Korea Strait via itineraries through Han-tomari, Hiki-tomari, and Komashima-tomari, reaching Iki Island and Tsushima. On Tsushima, they entered Asowan Bay, stopping at Asajiura and Takeshikiura. Finally, crossing the western channel of the strait, they landed near modern Geoje Island and reached Silla’s port in the Sacheon area, which served as the outer harbor of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Cheongju (present-day Jinju).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literary sources like the Man’yōshū can be used to empirically reconstruct early East Asian diplomatic and maritime routes, revealing not only the physical geography of travel but also the diplomatic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al adaptations of the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736년 遣新羅使와 遣新羅使人歌
Ⅲ. 오사카만-세토내해의 항로
Ⅳ. 후쿠오카만-쓰시마의 항로
Ⅴ. 쓰시마-한반도 남부의 항로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