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진평왕대 속함성 전투와 군사 동원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Battle of Sokham Fortressand Military Mobiliz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Silla
발행기관
북악사학회
저자명
정덕기(Duk-gi Jung)
간행물 정보
『북악사론』제22집, 81~12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신라 진평왕대 속함성 전투의 전장·전황을 분석하고, 신라의 구원군 동원 문제를 논의하였다. 속함성 전투는 함양 일대에서 발생한 전투로, 함양 서부(기잠성) → 함양읍(속함성) → 함양 북부(앵잠성) 등에서 4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다. 속함성 전투는 554~642년에 발생한 3대 大會戰이자, 3대 대회전 중 최대 규모의 대회전이다. 신라는 구원군으로 5군(2州停·3幢)을 보냈다. 5군 지휘부는 5군 상실의 여파를 과장하며 일전도 치르지 않고, 노진 등 6성을 쌓고 회군하였다. 그러나 5군은 624년 신라 군사력의 일부이다. 5군의 이해하기 어려운 대응은 법당의 낮은 전투력과 관계가 있다. 5군의 판단으로 인해 백제 방어의 최전선인 아막성은 공격 없이 함락되는 성(不攻拔城)이 되며 백제의 영향권에 들어갔다. 또 백제 방어의 최전선 지휘부인 속함성을 백제에 내어주었다. 이로 인해 이후 백제·신라 간 항쟁에서 신라는 수세에 처하였다. 속함성 전투의 전후처리 과정에서 법당의 낮은 전투력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이것은 군사 제도의 개편 및 법당이 쇠퇴하는 이유로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battlefield and progress of the Sokham Fortress battle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Silla. It also examines Silla’s military mobilization for rescue operations. The battle occurred in the Hamyang region, unfolding in four phases: beginning in western Hamyang (Gijam Fortress), proceeding to Hamyang-eup (Sokham Fortress), and concluding at northern Hamyang (Aengjam Fortress). This battle was one of the three major battles between 554 and 642, representing the largest in scale. Silla dispatched five military units, consisting of two jujeongs(州停) and three dangs(幢) as reinforcement troops. However, the commanders of these units exaggerated the damage from losing their armies and withdrew without engaging in a sing battle. Instead, they constructed six fortresses, including Nojin Fortress. These units were part of Silla’s military strength in 624, and their puzzling decision-making can be related to the low combat capability of the beopdang(法幢) units. Due to the commanders’ decisions, Amak Fortress, Silla’s frontline defense against Baekje, fell without attack(不攻拔城), consequently falling under Baekje’s influence. Furthermore, Sokham Fortress, which served as the command center for frontline defense, was also surrendered to Baekje. As a result, Silla was placed in a defensive position in subsequent conflicts against Baekje. It is presumed that issues concerning the low combat capability of the beopdang were raised during the post-battle settlement process. This situation led to the restructuring of military systems, including nandang(郎幢), and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the beopdang.

목차

Ⅰ. 머리말
Ⅱ. 속함성 등 6성의 위치와 군사적 가치
Ⅲ. 속함성 전투의 전황과 2州停・3幢의 동원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덕기(Duk-gi Jung). (2025).신라 진평왕대 속함성 전투와 군사 동원. 북악사론, (), 81-126

MLA

정덕기(Duk-gi Jung). "신라 진평왕대 속함성 전투와 군사 동원." 북악사론, (2025): 8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