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bellion of the Balhae Remnant Dae Yeonrim and the Suppression Process by the Liao Dynasty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저자명
- 홍성민(Sung-min Hong)
- 간행물 정보
- 『북악사론』제22집, 127~16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029년 음력 8월부터 1030년 음력 8월에 걸쳐 있었던 대연림의 반란을 遼朝가 진압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대연림의 반란은 21세기에 들어서 다시금 주목을 받았는데, 요대 석각자료에서 이에 관한 기사가 다수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군사사적인 측면에서 대연림의 반란을 다룬 연구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고찰을 진행하였다. 특히 요대 묘지명에서는 대연림의 반란이 일어난 시점을 1028년이라고 하였지만, 『요사』 및 주변국에서 남긴 사료를 고려하면 1029년에 일어난 사건이라고 이해하여야만 한다.
요가 대연림의 반란을 빠르게 진압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빠른 초기 대응으로 대연림 세력이 遼河보다 서쪽으로 진출하거나 요의 영역보다 동쪽으로 진출하여 자유롭게 여진과 고려와 왕래할 가능성을 차단하였다. 둘째, 양군의 주력이 충돌한 浦水 전투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반란의 기세를 크게 꺾었다. 셋째, 동경성을 포위한 채 장기전으로 가면서 遼軍의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성 안의 내부 분열을 유도하였다. 이렇게 요가 반란 진압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곧 대연림의 거병이 실패한 이유와도 연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Liao dynasty suppressed the rebellion led by Dae Yeonrim, which occurred from the eighth lunar month of 1029 to the eighth lunar month of 1030. The rebellion of Dae Yeonrim has garnered renewed attention in the 21st century, largely because numerous inscriptions from the Liao period have been discovered that mention the event.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addressing Dae Yeonrim’s rebellion from a military historical perspective, and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at dimension. In particular, while tomb epitaphs from the Liao period record the rebellion as having occurred in 1028, a closer analysis of the official history of Liao Dynasty and historical sourc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indicates that the event should be understood as having taken place in 1029.
The reasons the Liao dynasty was able to suppress Dae Yeonrim’s rebellion swiftly are as follows. First, the Liao forces responded quickly in the initial phase, thereby preventing Dae Yeonrim's forces from advancing westward beyond the Liao River or eastward beyond Liao territory, which would have enabled them to freely contact with the Jurchen and Goryeo. Second, the Liao achieved a decisive victory in the Battle of Pu river, where the main forces of both sides clashed, significantly weakening the momentum of the rebellion. Third, by besieging the Eastern Capital and drawing the conflict into a protracted campaign, the Liao army was able to minimize its own losses while inducing internal divisions within the fortress.
In this way, the reasons for the Liao’s success in suppressing the rebellion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sons for Dae Yeonrim’s failure to sustain his uprising.
목차
Ⅰ. 머리말
Ⅱ. 大延琳의 거병 과정 정리
Ⅲ. 대연림 세력의 동향
Ⅳ. 거란의 즉각적인 대응과 진압군 편성
Ⅴ. 거란의 반란 진압과정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