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roving the Accuracy of Air Force Spare Parts Demand Forecasting Us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정재훈(Jaehun Jung) 심태수(Taesoo Sim)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3호, 67~7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첨단 무기체계의 도입에 따른 운영유지비 증가와 수리부속 조달환경의 악화로 인해, 정밀한 수요예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군 수리부속의 수요가 소량이며 발생 간격이 불규칙한 특성으로 인해 예측이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존 통계기반 예측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 예측모형을 적용하였다. 국방물자관리체계로 부터 수집한 약 37만 건의 수요 데이터를 유형별(Regular, Intermittent, Erratic, Lumpy)로 분류한 후, Random Forest, XG-Boost, LightGBM, LSTM, N-Beats 5가지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성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XG-Boost 모델이 가장 우수한 정확도(79.13%)를 기록하였으며, 그리드 서치를 통한 매개변수 최적화 결과, 품목 기준 최대 81.28%의 예측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세부 품목별 분류 기준 정립, 최적 모델 적용 및 매개변수 튜닝 효율화 등을 통해 공군 수리부속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규모 군수 데이터셋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실용적인 예측모형 적용을 통해 현장 활용 가능성이 높은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군 및 국방 군수 시스템 전반의 운영 효율성 제고와 자원관리 혁신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increase in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weapon systems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procurement environment for spare parts, the importance of precise demand forecasting has become even more pronounced. This study addresses the challenge of forecasting Air Force spare parts demand, which is characterized by low volume and irregular occurrence intervals,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based predictive model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tatistical methods. Approximately 370,000 demand records were collected from the Defense Logistics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DELIIS) and classified by demand type (Regular, Intermittent, Erratic, Lumpy). Five predictive models-Random Forest, XG-Boost, LightGBM, LSTM, and N-Beats-were constructed and their performance compar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XG-Boost model achieved the highest prediction accuracy (79.13%), and, through grid search-based hyperparameter optimization, a maximum accuracy of 81.28% was attained for certain items.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establishing detailed item classification criteria, applying optimal models, and efficiently tuning parameter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accuracy of demand forecasting for Air Force spare parts. By presenting a practical, data-driven approach applicable to real-world operations, this research offers a differentiated contributio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especially in terms of quantitative analysis using large-scale military logistics datasets and the application of practical predictive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enhanc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innovating resource management across Air Force and national defense logistics systems in the future.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수행 절차
IV. 실험 및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촌관광 체험요인이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남해군 어촌체험마을 관광객을 중심으로
- SK텔레콤 데이터 유출 사건 전후 대중의 보안 염려: LDA 토픽 모델링 분석
- 한양도성 내 신 야간경제·관광 활성화를 위한 내·외국인 인식 비교 연구
- MZ세대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맞춤형 운동화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실물확인 욕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The Right Match, The Right Connection: Understanding Consumer Preferences in Influencer Collaboration Products
-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활용한 공군 수리부속 예측 정확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온실가스 감축정책이 기업의 감축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량적 광고 성과에 기반하여 기업과 인플루언서 간의 투명한 거래 시스템을 실현하는 플루테크 개념 연구
- 동일 지역의 다양한 테마 축제에 참여한 관광소비자의 반응 비교 연구: 진주시 5대 축제의 만족도, 충성도, 기대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 제3의 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감정 반응 연구: 스타필드 수원 사례 기반 소셜데이터 분석
- 반려동물 동반관광의 관광제약 및 제약협상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상품 바이콧 의사결정 영향 요인: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선행변수 탐색
- 중소기업 내부마케팅이 MZ세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경력성장기회를 중심으로
- 파라다이스시티의 전략적 브랜드 확장: 씨메르
- 메타버스 쇼핑환경에서의 시스템 품질이 고객의 쇼핑 경험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독 서비스 산업에서 고객 충성도 형성의 구조적 탐구: 단계별 분석을 중심으로
- 혼혈인 광고 모델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양가적 태도와 광고 효과: 인종 결합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창업기업의 ESG 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ESG 경영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산업-지역 적합성의 역학: 창업생태계가 스타트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뮬레이션 기반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