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Visitors' Perceptions for Revitalizing the New Night-Time Economy and Tourism in the Hanyangdoseong (Seoul City Wall) Inner Area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한희정(Hee Jung Han) 정강환(Gang Hoan Jeong) 남문희(Moon Hee Nam) 최인섭(In Sub Choi)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3호, 19~2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야간경제는 뉴욕, 런던, 시드니 등 주요 도시에서 큰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며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야간관광은 야간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으며, 영국의 퍼플 플래그(Purple Flag) 인증 제도는 성공적인 야간경제와 관광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이 제도는 안전하고 활기찬 야간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도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 야간경제·관광을 단순히 운영 시간을 연장하는 개념이 아니라, 특정 장소와 콘텐츠를 중심으로 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미래 지향적 관광 형태로 정의한다. 현재 서울의 야간경제 및 관광 정책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않아 고부가가치 관광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역사적 유산과 현대적 관광자원이 결합된 한양도성 내부지역을 신 야간경제·관광 연구의 최적 대상지로 선정하고, 내·외국인 관광객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야간 뮤지엄 패스권 도입과 고궁 및 공공한옥의 야간 개방이 관광 활성화에 효과적인 요소로 평가되었으며, 야간 전문 도슨트 운영과 같은 특화된 일자리 창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하철 24시간 주말 운영은 특히 외국인에게 높은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K-푸드 기반 야간 콘텐츠는 내·외국인 모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아울러, 야간 문화유산 체험과 문화거리 조성이 전통과 현대적 감각을 융합한 매력적인 야간 관광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nighttime economy is a key component of city competitiveness, generating significant economic impact in major cities such as New York, London, and Sydney. In particular, nighttime tourism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area for increas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nighttime economy, and the UK's Purple Flag certification program is considered a prime example of successful nighttime economy and tourism. By creating a safe and vibrant nighttime environment, the program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ity as a whole. In this study, we define the new night economy and tourism as a future-oriented form of tourism that maximizes economic efficiency by focusing on specific venues and content, rather than simply extending operating hours. Currently, Seoul's night economy and tourism policies are not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 value-added tourism contents. Therefore, we selected the inner area of Hanyangdo Castle, which combines historical heritage and modern tourism resources, as an optimal destination for a new night economy and tourism study,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roduction of night museum passes and the night opening of ancient palaces and public hanoks were evaluated as effective factors to revitalize tourism,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specialized jobs such as nighttime professional docent operations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24-hour weekend operation of the subway was highly desired, especially by foreign tourists, and K-food-based nighttime content was positively received by both Koreans and foreigners.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nighttime cultural heritage experiences and the creation of cultural streets would serve as attractive night tourism elements that fuse traditional and modern sensibilitie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실증조사 및 결과분석
IV. 연구결과 및 시사점
V.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촌관광 체험요인이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남해군 어촌체험마을 관광객을 중심으로
- SK텔레콤 데이터 유출 사건 전후 대중의 보안 염려: LDA 토픽 모델링 분석
- 한양도성 내 신 야간경제·관광 활성화를 위한 내·외국인 인식 비교 연구
- MZ세대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맞춤형 운동화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실물확인 욕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The Right Match, The Right Connection: Understanding Consumer Preferences in Influencer Collaboration Products
-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활용한 공군 수리부속 예측 정확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온실가스 감축정책이 기업의 감축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량적 광고 성과에 기반하여 기업과 인플루언서 간의 투명한 거래 시스템을 실현하는 플루테크 개념 연구
- 동일 지역의 다양한 테마 축제에 참여한 관광소비자의 반응 비교 연구: 진주시 5대 축제의 만족도, 충성도, 기대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 제3의 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감정 반응 연구: 스타필드 수원 사례 기반 소셜데이터 분석
- 반려동물 동반관광의 관광제약 및 제약협상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상품 바이콧 의사결정 영향 요인: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선행변수 탐색
- 중소기업 내부마케팅이 MZ세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경력성장기회를 중심으로
- 파라다이스시티의 전략적 브랜드 확장: 씨메르
- 메타버스 쇼핑환경에서의 시스템 품질이 고객의 쇼핑 경험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독 서비스 산업에서 고객 충성도 형성의 구조적 탐구: 단계별 분석을 중심으로
- 혼혈인 광고 모델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양가적 태도와 광고 효과: 인종 결합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어촌관광 체험요인이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남해군 어촌체험마을 관광객을 중심으로
- SK텔레콤 데이터 유출 사건 전후 대중의 보안 염려: LDA 토픽 모델링 분석
- 한양도성 내 신 야간경제·관광 활성화를 위한 내·외국인 인식 비교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