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to Multi-Functional Retail Complexes as Third Places: A Social Media-Based Analysis of Starfield Suw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성호(Seong Ho Lee) 이명성(Myoung Soung Lee) 조춘한(Chun Han Cho)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3권 제3호, 113~1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복합쇼핑몰은 물리적 구매 장소를 넘어 정서적 만족과 여가 경험을 동시에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이 소비자에게 단순한 구매 공간을 넘어 정서적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제3의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로는 2023년 말 개장한 스타필드 수원을 선정하였으며,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관련된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키워드 빈도 분석, 감성어 분석, 연관 키워드 분석, KoBERT 기반 감성 분류 등 다층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소셜미디어 기반 소비자 반응 분석은 전통적인 설문조사 방식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자연스러운 감정 흐름과 공간 인식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 결과, ‘맛집’, ‘도서관’, ‘팝업’ 등 비쇼핑 활동 관련 키워드가 다수 등장하였으며, 해당 공간이 여가, 정서적 몰입, 가족 단위 이용 등의 다양한 기대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감성 분석에서는 중립적 표현 외에도 ‘놀람’과 ‘행복’ 감정이 주로 나타나, 복합쇼핑몰에 대한 긍정적 감정 반응과 경험 기대가 소비자 인식에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들이 실제로 표현한 감정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복합쇼핑몰 공간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특히, 유통공간이 단순 구매를 넘어 감정적 만족과 여가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로 기능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 기반 소비자 경험 분석을 통해 복합쇼핑몰의 진화 방향을 학술적 논의와 함께 실무적으로 설계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complex shopping malls can function not only as spaces for consumption but also as venues for emotional experiences and social interaction. Starfield Suwon was selected as a case, and social media data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24 served as the analytical foundation.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study conduct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emotional word analysis, topic expansion and co-occurrence keyword analysis, and sentiment classification to capture consumers' interest and emotional responses from multiple dimens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Starfield Suwon is associated with various themes such as ‘restaurants’, ‘library’, and ‘popup’, indicating that it serves diverse roles related to escapism, leisure, and emotional satisfaction. The sentiment analysis further identified neutral, surprise, and happiness as dominant emotions, suggesting that consumer expectations for the space extend beyond shopping functions.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emotionally grounded spatial strategies for complex shopping malls and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emotional value in retail environment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촌관광 체험요인이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남해군 어촌체험마을 관광객을 중심으로
- SK텔레콤 데이터 유출 사건 전후 대중의 보안 염려: LDA 토픽 모델링 분석
- 한양도성 내 신 야간경제·관광 활성화를 위한 내·외국인 인식 비교 연구
- MZ세대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맞춤형 운동화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실물확인 욕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The Right Match, The Right Connection: Understanding Consumer Preferences in Influencer Collaboration Products
-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활용한 공군 수리부속 예측 정확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온실가스 감축정책이 기업의 감축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량적 광고 성과에 기반하여 기업과 인플루언서 간의 투명한 거래 시스템을 실현하는 플루테크 개념 연구
- 동일 지역의 다양한 테마 축제에 참여한 관광소비자의 반응 비교 연구: 진주시 5대 축제의 만족도, 충성도, 기대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 제3의 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감정 반응 연구: 스타필드 수원 사례 기반 소셜데이터 분석
- 반려동물 동반관광의 관광제약 및 제약협상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상품 바이콧 의사결정 영향 요인: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선행변수 탐색
- 중소기업 내부마케팅이 MZ세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경력성장기회를 중심으로
- 파라다이스시티의 전략적 브랜드 확장: 씨메르
- 메타버스 쇼핑환경에서의 시스템 품질이 고객의 쇼핑 경험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독 서비스 산업에서 고객 충성도 형성의 구조적 탐구: 단계별 분석을 중심으로
- 혼혈인 광고 모델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양가적 태도와 광고 효과: 인종 결합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창업기업의 ESG 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ESG 경영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산업-지역 적합성의 역학: 창업생태계가 스타트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뮬레이션 기반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