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orkaholism or Satisfaction? The Dual Pathways of Living a Calling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저자명
Xiaoling Yang 박준형(Joon Hyung Park)
간행물 정보
『창조와 혁신』제18권 제3호, 74~108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인이 자신의 소명을 실현하며 살아갈 때, 이것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두 가지 상반된 경로를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첫 번째 경로는 과도한업무 집착(일중독)을 유발하여 가정생활을 침해하고 갈등을 심화시키는 부정적 영향이며, 두 번째 경로는 소명수행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 정서를 강화함으로써 일-가정 갈등을 완화하는 긍정적 영향이다. 중국에 있는 다양한 조직에 종사하는 205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병렬 매개모형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해 이 두 경로의 비일관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분석 결과, 소명수행은 실제로 일중독 행동(특히 과도한 업무 수행)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켜 일가정 갈등을 심화시키는 한편, 동시에 삶의 만족도를 높여 갈등을 완화시키는 상반된 경로가 동시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소명수행과 일-가정 갈등 간의 총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는 상반된 매개경로가 서로 상쇄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소명 의식이라는 개념을 일-가정 영역을 통합함으로써, '일-소명 이론(Work as Calling theory)'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그 범위를 확장하며 일가정 역학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 이론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소명수행이 개인의 직무 열의뿐 아니라 가족 관계와 일상 삶에 미치는 이중적 영향을 통합적으로 조망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조직이 소명지향적 인재의 장점을 활용함과 동시에 과도한 업무 투입으로 인한 가족 관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가정 균형을 지원하는 제도와 문화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dual mechanisms linking living one’s calling to work-family conflict through two contradictory pathways. The first pathway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actively live out their calling may develop workaholic tendencies-particularly through excessive working behaviors- which in turn exacerbate strain-based work-family conflict. In contrast, the second pathway posits that living a calling enhances life satisfaction, which serves to mitigate such conflict.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05 full-time employees in China, the study employs parallel mediation analysis to test these competing mechanisms. The results reveal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s: living a call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excessive working and life satisfaction, which exert opposing effects on work-family conflict. Importantly, the total effect of living a calling on work-family confli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two indirect effects may counterbalance each other. By integrating the construct of living one’s calling with the work-family interface, this study offers a nuanced perspective on Work as Calling theory, extending its scope and validating its relevance in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work-family dynamic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organizations to consider both the motivational advantages and the possible relational drawbacks of employees pursuing their calling,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ir lives outside of work.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es
3. Methods
4. Results
5.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Xiaoling Yang,박준형(Joon Hyung Park). (2025).Workaholism or Satisfaction? The Dual Pathways of Living a Calling. 창조와 혁신, 18 (3), 74-108

MLA

Xiaoling Yang,박준형(Joon Hyung Park). "Workaholism or Satisfaction? The Dual Pathways of Living a Calling." 창조와 혁신, 18.3(2025): 74-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