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ducation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hatGPT in Speech Education in the Age of AI: A Case Study of High School Debate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허선아(Seona Heo)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3호, 49~8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생성형 AI, 특히 챗GPT를 활용한 화법 교육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창의적 재구성, 협력적 상호작용, 주체적 문제 해결 능력의 변화를 탐색하고, AI-교사 협력 모델이 토론 준비와 수행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AI 시대 국어교육의 방향성과 학습자 주도성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한다. 방법: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챗GPT+교사 피드백, 챗GPT 단독, 전통 수업의 세 집단을 구성하고, 사전·사후 설문, 성찰지, 토론 전사 자료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 개입이 병행된 집단은 비판적 점검, 창의적 재구성, 주체적 전략 설계에서 가장 뚜렷한 향상을 보였으며, AI 자료를 자기 언어로 재구성하는 능력이 증진되었다. 결론: 챗GPT는 화법 교육에서 유의미한 보조 도구가 될 수 있으나, 교사의 중재와 학습자의 비판적 수용이 함께할 때 교육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students’ critical thinking, creative reconstruction, collaborative interaction, and autonomous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Korean speech education utilizing generative AI, particularly ChatGPT. It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n AI-teacher collaboration model during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debate activities.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propose pedagog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learner agency in the age of AI. Methods: Three groups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group using ChatGPT with teacher feedback, a group using ChatGPT only, and a group receiving traditional instruc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pre- and post-surveys, reflective journals, and debate transcripts. Results: The group that received both AI support and teacher feedback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evaluation, creative argument reconstruction, and strategic planning. Students’ ability to reconstruct AI-generated content in their own words also increased notably. Conclusion: While ChatGPT can serve as an effective supplementary tool in speech education, its educational impact is maximized when combined with teacher mediation and learners’ critical engagement.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챗GPT 활용 화법 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연구 결과에 따른 교육적 적용 방향
6. 결론 및 교육적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3호 목차
- AI 시대 화법 교육에서 챗GPT의 교육적 활용과 한계 - 고등학교 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텍스트 수용 태도 분석: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 제2언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독성 공식 개발 및 수준 환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교원 관련 언론보도 양상 분석
- 동작류에 따른 한국어 ‘-고 있-’과 ‘-어 있-’ 습득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생성형AI 시대의 읽기 교육에 대한 고찰 - 들뢰즈와 과타리의 ‘소수어’개념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서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실현을 위한 기초 연구
- 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의 읽기 비교 분석 - 사실적 읽기를 중심으로
- 글쓰기 과정의 모형화 방안
- 한국어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부사어 어순 선호도와 인지 처리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자질 설정 연구
- 한국어 유사 문법 ‘-자’와 ‘-자마자’의 프락시올로지 분석 연구
- 음운 변동과 문법 항목 청취 능력: K-QRT를 중심으로
- 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