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서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실현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Foundational Study on Realizing ‘Student Agency as an Educational Goal’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장다희(Dahee Jang) 이윤희(Yunhee Lee) 이채윤(Chaeyun Lee) 김가은(Gaeun Kim) 최인찬(Inchan Choi)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3호, 7~4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주도성 개념을 토대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 검토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이 학생 주도성 담론에 제공하는 시사점과 학생 주도성 개념이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학생 주도성의 하위 요소를 기준으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개인적 주도성의 가치·태도와 공동체 의식을 교육 목표와 내용에 반영하고, 실행 전략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 주도성의 ‘문제 해결’은 국어과의 특성에 맞게 세분화되어야 하며, 비판적 리터러시와 학생 주도성 간 접점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 국어과 수업에 학생 주도성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생 주도성의 교과 적합성을 제고하고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a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for the discourse on student agency, as well as those of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for its implementa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a set of sub-elements that constitute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values and attitudes of personal agency and a sense of community in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 and to specify concrete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e concept of “problem solving” within student agency should be further refined to alig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greater alignment between critical literacy and student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Conclusion: In order for student agency to be effectively establish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nhance subject alignment and to continue discussions on developing concrete implementation guidelines.

목차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3.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관점에 따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4. 논의 및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다희(Dahee Jang),이윤희(Yunhee Lee),이채윤(Chaeyun Lee),김가은(Gaeun Kim),최인찬(Inchan Choi). (2025).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서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실현을 위한 기초 연구. 새국어교육, (), 7-47

MLA

장다희(Dahee Jang),이윤희(Yunhee Lee),이채윤(Chaeyun Lee),김가은(Gaeun Kim),최인찬(Inchan Choi).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서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실현을 위한 기초 연구." 새국어교육, (2025): 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