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eading Education in Generative AI Era : Focusing on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Minor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손랑은(Rangeun Son)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3호, 147~18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생성형AI 시대의 읽기 교육의 방향에 대해 탐구한다. 방법: 들뢰즈와 과타리의 소수어 언어관을 토대로 한다. 결과: 소수어는 소수성을 지니는 언어이다. 소수성은 변이와 변주, 개성과 고유함에 의한 창조를 추구한다. 생성형AI가 생성하는 언어는 다수어이다. 다수어는 표준성, 보편성을 추구하는 언어이다. 소수어가 지닌 창조적인 특성은 인공지능의 언어와 구별되는 인간 언어의 고유함이다. 소수어를 통한 읽기는 자기만의 변수를 통해 유추하고 추론하며 행간을 읽어 내려가는 것이다. 삶에 쌓인 지식, 경험, 기억 등은 자기만의 것이므로 이를 통한 읽기 역시 자기만의 것이며, 이전에 없던 읽기이다. 이는 곧 창조적 텍스트 이해로 연결된다. 결론: 생성형AI 시대의 읽기 교육은 창조적 문식 활동에 기여하는 소수어 언어관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Methods: It is based on minority languages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Results: Minor language is a language that possesses minorité. Minorité seeks creation through variation, modulation,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The language of generative AI is a major language—one that pursues standardization and universality. The creative qualities of a minor language constitute the uniqueness of human language, setting it apart from the langu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ading through a minor language involves inference, interpretation, and reading between the lines by way of one’s own variables. Such reading, grounded in the knowledge, experiences, and memories accumulated through life, is inherently singular—it is a reading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This singularity leads to a creative understanding of the text. Conclus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reading education should be grounded in a minorité conception of language that fosters creative literacy practices.
목차
1. 서언
2. 소수어와 읽기 교육
3. 생성형AI 시대의 읽기 교육
4. 결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3호 목차
- AI 시대 화법 교육에서 챗GPT의 교육적 활용과 한계 - 고등학교 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텍스트 수용 태도 분석: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 제2언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독성 공식 개발 및 수준 환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교원 관련 언론보도 양상 분석
- 동작류에 따른 한국어 ‘-고 있-’과 ‘-어 있-’ 습득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생성형AI 시대의 읽기 교육에 대한 고찰 - 들뢰즈와 과타리의 ‘소수어’개념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서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실현을 위한 기초 연구
- 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의 읽기 비교 분석 - 사실적 읽기를 중심으로
- 글쓰기 과정의 모형화 방안
- 한국어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부사어 어순 선호도와 인지 처리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자질 설정 연구
- 한국어 유사 문법 ‘-자’와 ‘-자마자’의 프락시올로지 분석 연구
- 음운 변동과 문법 항목 청취 능력: K-QRT를 중심으로
- 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