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의 읽기 비교 분석 - 사실적 읽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reading between borderline intelligence functioning and underachievers : with a focus on literal reading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안부영(Buyoung An)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3호, 119~1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가 사실적 읽기를 수행할 때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여 이들의 읽기 지도에 시사점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10명의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동일교, 동일 학년에 재학중인 10명의 학습 부진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일 평가지 제공 후 나타난 오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경계선 지능 학습자는 배경지식을 수정하면서 텍스트를 이해하는 경우가 드물고 텍스트의 내용과 상관없이 배경지식을 토대로 낱말 간의 관계를 파악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반면 학습 부진 학습자는 텍스트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낱말의 뜻을 추측하려고 하였으며 문어를 구어로 바꾸었을 때의 이해도가 경계선 지능 학습자보다 높았다. 결론: 경계선 지능 학습자의 사실적 읽기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독서 기회 제공, 읽기 전 과정에서의 배경지식 수정 기회 제공, 문어를 구어로 바꾸어 문어의 이해를 돕는 과정 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rrors that appear when elementary school borderline intelligent functioning and underachieving learners rea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result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ir reading instruction. Method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rrors shown by 10 borderline intelligent function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10 underachieving learners in the same school and the same grade. Results: Borderline intelligence functioning did not try to understand it by modifying their background knowledge when reading.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the text,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guess the meaning of a word based on background knowledge. On the other hand, learners with poor learning tried to guess the meaning of a wor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text, and understood it much better than learner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functioning when explained in words. Conclusion: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borderline intelligent function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many reading opportunities. Second, borderline intelligent functioning should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modify their background knowledge before reading. Third, an additional process should be prepar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sentences by reading them into word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부영(Buyoung An). (2025).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의 읽기 비교 분석 - 사실적 읽기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 119-146

MLA

안부영(Buyoung An). "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의 읽기 비교 분석 - 사실적 읽기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2025): 119-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