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자질 설정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Scoring Features for Assessing Korean Language Learners’ Speaking Fluency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향원(Hyangwon Lee) 오재혁(Jeahyuk Oh) 이정란(Jungran Lee) 최은지(Eunji Choi) 이선영(Sunyoung Lee) 김형민(Hyeongmin Kim)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3호, 443~47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에서 나타나는 평균적인 특징을 토대로 말하기 자동 채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창성 평가의 채점 자질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유창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언어적 형식과 관련된 요소로만 국한하여 발화 길이(발화 지속 시간, 발화 시간 격차), 발화 속도(말 속도, 조음 속도), 끊어 말하기(휴지 빈도, 휴지 길이, 휴지 길이 격차)를 대규모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발화 길이에서 발화 시간 격차는 숙달도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발화 지속 시간은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발화 속도에서 말 속도와 조음 속도 모두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끊어 말하기에서 휴지 빈도는 숙달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휴지 길이는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짧아지는 양상을 보였고, 휴지 격차는 1급과 6급이 다른 급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발화 지속 시간, 말 속도, 휴지 길이는 숙달도를 평가하는 유창성 채점 자질로 주요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휴지 길이 격차는 1급과 6급을 구분하는 보조적인 자질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scoring features for assessing speaking fluency in automated Korean speaking evaluations by identifying aver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poken production. Methods: Speaking fluency-related factors were limited to elements associated with linguistic form and measured using a large-scale Korean learner spoken corpus. The examined variables included utterance length(utterance duration, utterance time gap), speech rate(speaking rate, articulation rate), and pause -related features(pause frequency, pause duration, pause duration gap). Results: In terms of utterance length, the utterance time ga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proficiency levels, whereas utterance duration tended to increase with higher proficiency. Both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increased as proficiency improved. Among pause-related features, pause frequen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levels. However, pause du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proficiency, and pause duration gap showed notable differences particularly between beginner(Level 1) and advanced learners(Level 6). Conclusion: Utterance duration, speech rate, and pause duration can serve as core speaking fluency features for proficiency assessment, while pause duration gap may be used as a supplementary feature to distinguish between beginner and advanced learner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향원(Hyangwon Lee),오재혁(Jeahyuk Oh),이정란(Jungran Lee),최은지(Eunji Choi),이선영(Sunyoung Lee),김형민(Hyeongmin Kim). (2025).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자질 설정 연구. 새국어교육, (), 443-475

MLA

이향원(Hyangwon Lee),오재혁(Jeahyuk Oh),이정란(Jungran Lee),최은지(Eunji Choi),이선영(Sunyoung Lee),김형민(Hyeongmin Kim).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자질 설정 연구." 새국어교육, (2025): 443-4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