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re-service Teachers’ Korean Grammar Instructional Design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박민신(Minsin Park)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43호, 477~525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한국어 예비 교사가 작성한 ‘-기 때문에’ 문법 수업 계획서를 분석하여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한국어 예비 교사가 작성한 23편의 ‘-기 때문에’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였다. 1차 코딩을 통해 수업 설계의 양상을 도출하고, 2차 코딩에서 이들을 수업 설계에 미치는 요인으로 범주화하였으며, 3차 코딩을 통해 도출된 요인들을 기존 PCK이론과 연계하여 이론화하였다. 결과: 문법 수업 설계 시 가상의 학습자와 교실을 상정한 채 이루어지는 탈맥락화된 수업 설계 환경으로 인해, 교육 맥락에 대한 이해가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수 경험이 부족한 예비 교사들은 표준적인 교수-학습 모형과 교육 내용의 측면에서 집단적 PCK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기 때문에’라는 문법의 내재적 특성이 유사 문법과 구분되는 전형적인 사용 맥락과 문법 사용 경험 제시의 측면에서 차별화된 수업을 계획하는 데 독립적인 영향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한국어 예비 교사 교육에서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맥락의 설정, 집단적 PCK의 비판적 수용, 목표 문법의 특수성을 반영한 수업 계획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As a foundational study in Korean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gi ddaemune’ grammar lesson plans developed by pre-service Korean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it proposes pedagogical implications. Methods: Employing grounded theory, this study analyzes 23 ‘-gi ddaemune’ lesson plans developed by pre-service Korean teachers. Through primary coding, key aspects of instructional design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factors during secondary coding. These factors were then theorized in relation t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eory through tertiary coding.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decontextualized environment influenced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eir conceptualization of hypothetical learning contexts. Additionally, pre-service teachers with limited teaching experience relied heavily on collective PCK for instructional models and content selection. Furthermor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i ddaemune’ emerged as a factor influenc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particularly in presenting distinctive usage contexts that separate it from similar grammatical item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emphasize critical acceptance of collective PCK, consideration of specific teaching contexts, and instructional design that reflects the differentiated nature of target gramma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수업 설계의 개념과 교사의 역할
3. 연구 방법
4.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민신(Minsin Park). (2025).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새국어교육, (), 477-525

MLA

박민신(Minsin Park). "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새국어교육, (2025): 477-5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